'제2의 DLF 사태 막는다'…노년층 경제교육 강화 추진

입력 2019-12-27 10: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내년 하반기부터 교사 대상 경제ㆍ금융 연수…생애주기별 경제교육 강화

▲구윤철 기획재정부 2차관이 19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제1회 국채발행전략 협의회를 주재하고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내년 하반기부터 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경제·금융 연수과정이 시범 시행된다. 또 최근 파생결합상품 DLF(Derivative Linked Fund)사태 등을 고려해 청장년층과 노년층에 대한 경제교육이 강화된다.

정부는 27일 구윤철 기획재정부 차관 주재로 제7차 경제교육관리위원회를 열고 '학교 경제교육 활성화 방안'과 '생애주기별 경제교육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등을 논의했다.

구 차관은 이 자리에서 "기존의 읽기(reading), 글쓰기(writing), 연산(arithmetic)의 전통적인 3R 교육에서 탈피해 현장 중심의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경제교육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최근 DLF 사태 등을 고려해 현재 다소 부족한 청·장년층, 노년층 등에 대한 체계적 생애주기별 평생 경제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구 차관은 "누구라도 언제 어디서든 경제교육이 가능하도록 유비쿼터스 경제교육 디지털 도서관이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위원회에서 상정·논의된 안건의 주요 내용을 보면 핵심 역량기반 교육이 가능한 경제 교과서로 개편하고 내용 요소를 적정 수준으로 체계화하기로 했다.

또 교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교대·사범대에 경제·금융교육 강좌 개설을 지원하고 교사의 경제‧금융 연수과정 신설을 추진키로 했다.

교육 수요 등에 대한 실태조사와 관계 기관과의 협의 통해 2020년 하반기부터 시범으로 하고 시도 교육연수원 등과 협의해 자유학기제, 범 교과학습 과정, 진로교육 강화 직무연수 과정 신설을 추진한다.

고교학점제‧자유학기제‧범교과 학습을 추진하는 학교당국과 지역 경제교육기관 간 협력체계 강화해 지역경제교육 자원을 연계한 고교학점제 선도모델을 개발하고 민간‧공공기관의 학습 자료를 가공해 학교에 보급한다.

아울러 경제자원‧성과 조사를 통해 경제교육 DB와 중장기적으로 경제교육 디지털 도서관 구축‧운영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생애주기별 경제교육 핵심 역량에 관한 연구결과 보급‧확산을 추진키로 했다.

도서관‧주민센터‧노인대학 등의 커리큘럼과 연계해 생애주기별 경제교육 추진하고 민간경제교육단체가 제공하는 교육 내용 등을 분석, 평생 경제교육 협력사업 발굴‧제공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