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간 2.97㎜에 비해 상승속도 더 빨라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변동을 연구하기 위해 30년간(1989~2018)의 연안 조위관측소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평균 해수면이 매년 2.97mm씩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발표했다.
해양조사원은 2009년부터 연안 조위관측소 자료를 분석해 매년 해수면 상승률을 발표하고 있으며, 올해에는 30년간 누적된 21개 조위관측소의 자료를 분석해 상승률을 계산했다.
그 결과 해역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 부근(연 4.26mm)이 가장 높았고, 그 뒤로 동해안(연 3.50mm), 서해안(연 2.48mm), 남해안(연 2.44mm) 순으로 나타났다. 관측지점별로 보면 제주가 연 5.43mm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울릉도(연 5.13mm), 포항(연 4.55mm), 거문도(연 4.39mm), 가덕도(연 4.22mm) 순이었다.
또 21개 조위관측소 자료를 기준으로 최근 10년간(2009~2018) 해수면 상승률을 분석한 결과 연 3.48mm로 30년간(1989~2018) 해수면 상승률(연 2.97mm)과 비교해 더욱 빠르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안의 경우 지난 30년간 해수면 상승률이 연 3.50mm에서 최근 10년간 연 4.86mm로, 남해안은 연 2.44mm에서 연 3.59mm로 높아졌다. 제주 부근은 소폭 상승(연 0.15mm)했고 서해안은 연 2.48mm에서 연 2.02mm로 유일하게 상승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홍래형 해양조사원장은 “급격한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해수면 변동 연구를 지속해서 수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