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궁지’ 트럼프, 바이든에 대한 공세 강화…“중국도 조사해야”

입력 2019-10-04 10: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국서 일어난 일, 우크라서 발생한 것만큼 나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백악관 잔디밭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워싱턴D.C./AP연합뉴스
하원 탄핵 조사 개시로 궁지에 몰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민주당 대선주자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에 대한 공세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에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바이든 전 미국 부통령과 그의 아들인 헌터 바이든의 비리 혐의를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아직 시 주석에게 정식으로 조사를 요청하지는 않았다”면서도 “그러나 중국에서 일어난 일은 우크라이나에서 발생한 것만큼 나쁘다. 중국이 바이든 부자에 대한 조사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바이든 부자를 재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서 그 범위를 중국으로 넓혔다고 통신은 설명했다.

트럼프는 “내가 젤렌스키 대통령이라면 바이든 부자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라고 권할 것”이라며 “모두가 그들이 정직하다는 것을 의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는 그동안 바이든 아들인 헌터가 우크라이나와 중국에서 부정한 방법으로 거액의 돈을 챙겼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도 중국과의 무역협상에 관한 질문에서 갑자기 바이든을 거론했다.

또 바이든이 부통령을 지냈던 버락 오바마 전 정부의 무역정책을 염두에 둔 듯 “중국이 미국으로부터 돈을 가로채는 거래를 해왔다”며 “헌터가 중국 정부로부터 혜택을 받았기 때문에 미국 정부가 이전에 중국에 강경 자세를 보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바이든이 2013년 부통령으로서 중국을 방문했을 당시 헌터도 동행했다. 그 직후 헌터가 참여한 펀드 출시가 발표됐으며 중국 국영은행도 해당 펀드에 투자한 것으로 밝혀졌다. 트럼프에 가까운 미국 보수 언론매체는 헌터가 아버지의 방중을 통해 중국 자금을 끌어들였다고 비판했다. 바이든 측은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한편 하원 정보위원회 등 상임위원회는 이날 트럼프가 7월 25일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수사 압박 등 권력을 남용했다는 우크라이나 의혹과 관련해 커트 볼커 전 국무부 우크라이나협상 특별대표를 불러 증언을 청취했다. 볼커 전 대표는 “우크라이나 정부에 대해 미국 정치에 관여하지 않도록 우려를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볼커는 트럼프 개인변호사인 루디 줄리아니와 우크라이나 대통령 측근의 전화 협의를 조정한 것으로 알려진 인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