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명칭부터 지명까지…일제 잔재 모조리 청산하자

입력 2019-08-12 15: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칠곡군역사바로세우기추진위원회가 '왜관역'을 '칠곡역'으로 바꾸자는 운동을 벌이고 있다.(연합뉴스)

무역 분쟁 한일 관계가 급격히 경색돼 가는 중에 여러 지자체들에서 일제강점기의 잔재로 남은 명칭들을 복구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달 25일 전주시에서는 현재 일제 잔재로 남아있는 공무원의 명칭을 새로이 바꾸겠다고 밝혔다.

전주시에 따르면 이사관, 서기관, 사무관, 주사, 서기 등은 모두 일제 시대의 잔재라는 것을 인식한 김승수 전주시장이 간부 회의에서 이를 언급함에 따라 이와 같은 명칭 변경을 추진하게 됐다. 새로운 명칭은 현재 직원 공모를 받고 있다.

다만 인사발령 등 공문서에 사용되는 명칭까지 완전히 변경되기 위해선 중앙 정부에서 ‘지방공무원 임용령’이라는 법령을 바꾸어야 한다. 전주시는 오는 9월 전북시장군수협의회에 이 같은 명칭 변경 방안을 안건으로 올려, 협의회 차원에서 중앙 정부에 건의해 법령상의 공무원 명칭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전주시는 법령상의 명칭이 개정되지 않을 경우, 전주시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간단한 문서 등에서만이라도 새로이 제정한 명칭을 사용할 계획임을 밝혔다.

전국 곳곳에서는 일제가 만든 지명을 우리말로 바꾸려는 움직임이 한창이기도 하다.

경북 칠곡군에서는 지난 7월 31일부터 지역 곳곳에 남아있는 ‘왜관(倭館)’이라는 명칭을 바꾸자는 칠곡군역사바로세우기추진위원회의 주장이 제기됐다. 왜관이란 명칭은 일제강점기 때 만들어진 말이 아니지만, 조선시대 일본과의 교역을 위해 일본인이 거주하던 숙소에 붙였던 명칭이다.

위원회는 칠곡군 곳곳에 왜관역, 왜관읍, 왜관초등학교 등 사용되는 ‘왜관’이라는 명칭을 ‘칠곡’ 등의 명칭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구 시민사회에서도 유사한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대구 남구에 위치한 ‘앞산’은 옛 명칭인 ‘성불산’을 일제가 ‘전산(前山)’으로 바꾼 이름이며, 북구에 위치한 ‘오봉산’ 역시 기존의 ‘침산’을 당시 친일파이던 군수가 바꾼 명칭이라고 알려졌다. 이 밖에 ‘동성로’, ‘덕산정’ 등의 명칭 역시 일제의 잔재라는 연구가 나옴에 따라, 이들 지명 역시 우리 명칭으로 바꾸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경남 창원시에서는 이미 지난 5월부터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지자체 차원에서 지역 내 일제 잔재로 남은 지명을 공모 받아 명칭을 변경하는 작업에 착수 중에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