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여도 마이너스 전환..교역조건 악화에 실질GDI 감소..일 수출규제등 불확실성 지속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7분기(1년9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다만 지연됐던 정부 예산집행이 집중된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성장률에서 차지하는 정부기여도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민간부문 부진이 지속되면서 민간기여도는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또 유가상승에 따른 교역조건 악화로 국민 호주머니 사정을 가늠할 수 있는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성장률이 기술적반등 수준에 그친데다 일본의 수출규제와 글로벌 무역분쟁 등 불확실성이 커 향후 흐름을 가늠키 어렵다는 관측이다.
이는 정부 소비와 투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실제 성장률에서 정부가 차지하는 기여도는 1.3%포인트에 달했다. 이는 2009년 1분기(1.9%포인트) 이후 41분기(10년3개월)만에 최대치다. 반면 민간기여도는 마이너스(-)0.2%포인트로 한분기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수출부진도 계속됐다. 순수출기여도는 -0.1%포인트로 3분기째 뒷걸음질쳤다. 반면 내수기여도는 1.2%포인트로 한분기만에 플러스 전환했다.
지출항목별로는 정부와 민간소비가 확대된 가운데, 건설 및 설비투자와 수출은 증가로 전환했다. 정부소비는 물건비와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이 늘어 2.5% 증가했고, 민간소비도 의류 등 준내구재와 의료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7%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건설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토목건설이 늘어 1.4% 확대됐다. 설비투자도 운송장비를 중심으로 2.4% 늘었다. 수출은 자동차와 반도체 등이 늘어 2.3% 증가했고, 수입은 기계류 등을 중심으로 3.0% 확대됐다.
한은 관계자는 “1분기 마이너스를 보였던 정부쪽 기여도가 소비와 투자 모두 늘면서 큰 폭으로 플러스를 기록한데다, 1분기 마이너스를 보였던데 따른 기저효과도 반영되면서 기술적반등 수준을 기록했다”며 “순수출기여도는 부진했고, 민간기여도 또한 주거용건물건설 부진에 따라 좋지 않았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일본의 수출규제와 무역분쟁이 지속되는 등 불확실성이 커 향후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은 크다”고 덧붙였다.
앞선 한은 관계자는 “성장률 자체가 높을 때는 교역조건 변화에도 불구하고 GDI가 마이너스까지 가진 않았었다. 성장률이 낮은데다 교역조건이 크게 변하면서 GDI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이라 특별히 의미를 부여하긴 어렵다”며 “최근 유가와 반도체 가격 개선 등 조짐도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