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금리인하 가능성 커지며 상승...3대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입력 2019-07-04 08: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뉴욕증시가 3일(현지시간) 사상최고치를 경신했다. 주요 경제지표 부진으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하 가능성이 높아진 영향이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79.32포인트(0.67%) 상승한 2만6966.00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22.81포인트(0.77%) 오른 2995.8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61.14포인트(0.75%) 상승한 8170.23로 각각 장을 마쳤다.

다우지수는 이날 고점에 종가를 형성하며 장중 가격은 물론 종가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S&P도 종가 및 장중가 모두 신기록을 세웠고, 나스닥은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티쓰리라이브닷컴의 분석가 스콧 레들러는 “주요 지수들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시세차익실현이 있을 것”이라며 “기술주 강세가 지속되고 반도체주가 반등에 성공하면 S&P지수가 3000을 넘을 것으로 본다”고 평가했다.

페이스북,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의 주가가 이날 일제히 올랐다. 뉴욕증시는 다음날 독립기념일 휴장을 앞두고 오후 1시 조기 폐장했다.

이날 발표된 주요 지표들이 기대에 못 미쳤다. ADP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6월 민간고용은 10만2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 5월 2만7000명 증가보다는 양호했지만 시장 기대치 13만5000명에 못 미친 수준이다.

또 미국의 5월 무역적자는 555억2000만 달러로 전월보다 8.4% 급증했다. 시장 예상 544억 달러를 넘어섰다.

공급자관리협회(ISM)가 발표한 미국의 6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5.1로 2017년 7월 이후 약 2년 만의 최저치로 떨어졌다. 시장 기대 55.8에도 못 미쳤다.

이같은 경제지표 부진은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완화 정책에 대한 기대를 키우며 증시에는 호재로 작용했다.

유럽연합(EU)이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를 차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로 내정한 것도 시장의 기대를 키운 요인이 됐다. 라가르드는 IMF 총재로서 ECB에 통화완화정책을 조언해 왔다. 세계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라가르드 신임 ECB 총재가 전임 마리오 드라기 총재의 완화적인 정책 기조를 이어갈 것이란 데 무게가 실리고 있다.

어드바이저 에셋 매니지먼트의 스콧 콜리어 최고투자책임자(CIO)는 “글로벌 기업들이 성장이 느려지고 있고 특히 미국 경제 성장 둔화가 시작됐다”며 “연준이 7월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전망했다.

업종별로는 전 업종이 오른 가운데 필수소비재가 1.36% 상승했고, 커뮤니케이션도 0.71% 올랐다. 기술주는 0.68% 상승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