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금우려 없는 교섭장에서 보자”...한국노사의 부끄러운 민낯

입력 2019-05-29 16:4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감금, 집기 훼손 등 우려..사측 교섭장 변경 요청, 노조는 거부

“노조가 회사임원을 감금할 수 있다. 출구가 여러 곳으로 교섭장을 바꿔달라.”

올해 임금협상 단체교섭을 앞둔 한국지엠(GM) 노사가 교섭을 시작하기도 대한민국 노사관계의 부끄러운 모습을 드러냈다.

29일 한국GM에 따르면 이 회사 노사는 30일부터 임금협상 단체교섭을 시작하기로 했다. 하지만 교섭 장소와 노조 교섭대표 등을 확정하지 못한 채 난항을 겪고 있다.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가 바로 ‘노사 교섭장소’이다.

한국GM 사측은 교섭 장소를 기존에 사용하던 인천시 부평구 한국GM 본사 복지회관동 건물 노사협력팀 대회의실에서 본관 건물 내 회의실로 옮겨달라고 요청했다.

사측이 교섭장 장소 변경을 요청한 이유는 감금 우려 때문이다.

노사협력팀 대회의실은 출구가 하나밖에 없다. 감금될 경우 임원진이 대피하기 어려워 출구가 여러곳이 있는 곳으로 장소이동을 요구한 것이다.

▲<YONHAP PHOTO-2905> 한국지엠 부평본사에 모인 노조원들 (인천=연합뉴스) 윤태현 기자 = 한국지엠(GM) 주주총회가 열리는 19일 오후 주주총회 장소로 알려진 인천시 부평구 한국지엠 부평공장 본사 사장실 주 통로 앞에서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GM지부 노조원들이 앉아 있다. 한국GM은 이날 주주총회를 소집해 글로벌 제품 연구개발을 전담할 신설 법인 설립 안건을 통과시킬 예정이, 한국지엠 노조원들은 이를 저지할 계획이다. 2018.10.19 tomatoyoon@yna.co.kr/2018-10-19 14:08:48/<저작권자 ⓒ 1980-2018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실제 지난해 5월에는 한국GM 비정규직 40여명이 사장실을 점거해 집기를 부쉈다.

이어 지난해 10월엔 노조가 연구개발(R&D) 신설법인을 분리 및 독립하려는 사측에 맞서 수십 명이 부평 본사 3층 사장실 앞을 점거했다.

사측은 당시 용역업체 직원을 배치해 진입을 막으려 했지만 노조는 쇠 지레를 이용해 사장실 입구를 막았다. 당시 카허 카젬 사장은 사장실 안에 사실상 감금됐다.

그러나 노조는 기존 교섭장은 30여년간 노사 단체교섭이 있을 때마다 사용했던 곳으로 상징성이 있어 교체할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

사측이 감금을 우려하는 이유는 또 있다. 또 노조가 제시한 단체교섭 대표 가운데 앞서 해고된 노조 군산지회장이 포함돼 있다. 사측은 그를 대표로 인정할 수 없다는 뜻을 전했다.

군산지회장은 지난해 한국GM 노사 간 교섭 중 회사 기물을 파손했다가 해고된 바 있다.

재계 관계자는 “한국GM 사측이 감금을 우려해 장소를 변경하자고 하고, 노조가 이를 거부한 것은 한국 노사관계를 보여주는 단적인 블랙코미디”라고 씁쓸해 했다.

한편 한국GM 노조는 지난 16일 임시 대의원대회를 열고 기본급 5.65% 정액 인상, 통상임금의 250% 규모 성과급 지급, 사기진작 격려금 650만원 지급 등의 내용을 담은 임금협상 단체교섭 요구안을 확정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