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기업, 지난해 매출 66%는 해외서… 국내 법인세 규모는 '일자리 예산'

입력 2019-05-06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경연)
우리나라 10대 기업들은 지난해 매출의 66%를 해외에서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내 법인세 납부는 작년 우리나라 일자리 예산과 맞먹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지난해 매출 100대 기업 중 국내외 분류가 가능한 64개사를 분석한 결과, 해외 매출 비중이 절반 이상(55.1%)이었다. 한경연은 “주요 기업의 해외 매출 비중이 5년 전에 비해서도 증가했고, 특히 상위 10대 기업, 5대 기업으로 갈수록 비중이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매출 상위 10대 기업의 총 매출액은 695조6000억 원으로 이 중 3분의 2(65.9%)를 해외에서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위 5대 기업의 해외 매출 비중은 72.9%로 더 높았다.

삼성전자가 86.1%로 국내 비중이 13.9%에 불과했고 기아자동차(66.9%), LG전자(63.5%), 현대자동차(62.0%)의 해외 비중도 모두 60%를 넘어섰다. SK하이닉스는 97.9%로 10대 기업 중에서는 해외 비중이 90%를 넘어서는 유일한 기업이었다.

주요 기업 10개 중 6개사는 5년 전에 비해서도 해외 매출 비중이 증가했다. 전체 64개사 중 2014년과 비교 가능한 54개사를 분석한 결과, 35개사(64.8%)의 해외 비중이 2014년(41.4%)에 비해 9.2%p 늘어난(50.6%)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매출액 증감을 보면 전체 54개사는 국내 매출액이 3.2%, 해외 매출액이 15.2%가 증가한 반면, 해외 매출 비중이 증가한 35개사는 국내 매출액이 1.5% 감소하고, 해외 매출액은 42.6%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또 매출액 상위 5대 기업 중 삼성전자는 5년 전과 비교해 여전히 80%대의 해외 매출 비중을 유지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도 각각 6.7%p, 4.5%p 늘어 60%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 및 국가별로는 전기·전자(82.6%)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전자업종에 속한 7개 기업 중 SK하이닉스(97.9%), LG디스플레이(93.5%), 삼성전기(89.0%), 삼성전자(86.1%), 삼성SDI(81.5%) 등 5개 기업의 해외 매출 비중이 80%를 넘었다.

(기획재정부 재정정보공개시스템 ‘열린재정’)
지난해 주요 기업들이 매출의 절반 이상을 해외에서 벌었지만, 국내 법인세수에 대한 기여는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대상 64개 기업 중 2018년 법인세차감전이익이 적자인 기업 등을 제외한 52개사의 작년 법인세비용은 22조9000억 원으로 전체 법인세수 70조9000억 원의 32.3%를 차지했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의 지난해 국내 매출 비중이 13.9%, SK하이닉스는 2.1%에 불과하지만 법인세 부담액은 각각 11조6000억 원, 5조6000억 원으로 두 기업이 전체 법인세수(70조9000억 원)의 4분의 1 가량(24.3%)을 차지했다.

또 2018년 매출액 상위 10대 기업의 전체 법인세비용은 18조9000억 원으로 작년 우리나라 일자리 예산(19조2000억 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현재 6세 미만 모든 아동에게 월 10만 원씩 지급되고 있는 아동수당(9월부터 만7세 미만 아동으로 대상 확대) 예산(2조2000억 원)의 8.6배에 달하는 금액이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우리나라 주요 기업들의 해외 매출 비중이 3분의 2수준에 육박하고, 5년 전에 비해서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세수나 고용 등에 기여하는 바가 큰 만큼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법·제도 정비 및 정책 마련 등을 통한 경영 여건 개선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