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자율규약 시행, 업계 빅2 점유율 확대 전망-유진투자

입력 2018-12-05 07: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편의점 자율규약의 시행이 업계 빅2인 CU와 GS25의 점유율 확대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와 주목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4일 과밀화 해소를 목적으로 편의점 업계가 합의한 자율 규약을 사상 처음으로 승인했다. 이에 경쟁사 간 출점 거리 제한은 지역에 따라 50~100m로 결정됐다.

유진투자증권은 자율규약 시행으로 근접 출점 문제가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이를 어기면 사회적 비난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모든 업체가 자율 규약을 지킬 것으로 보인다는 이유에서다.

이와 관련해 편의점 산업 외형성장의 한 축을 담당하는 신규 출점 모멘텀이 둔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할 수 있지만, 유진투자증권은 편의점 빅2의 경우 내년에도 600개 수준의 점포 순증이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는 기존의 시각을 유지했다. 신규 출점 여력이 줄어든 것은 분명하나, 타 브랜드 편의점의 점포 전환 수요가 존재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근거로 2018년부터 시행 중인 가맹점 상생지원금 규모를 꼽았다. 업계 선두주자인 BGF리테일과 GS리테일은 가맹점 상생 지원책으로 전기료 지원을 포함해 연간 450억 원 규모의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타 브랜드 편의점도 상생협약이 존재하나 전기료 지원과 같은 직접적인 비용 지원 항목이 적으며 영업이익 규모를 고려했을 때 추가 확대 여력도 크지 않다고 분석한다. 이에 편의점 가맹점주들이 상생지원금 규모가 큰 빅2로 몰릴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유진투자증권 주영훈 연구원은 “상생지원금 규모를 차치하더라도 편의점 산업에서 상위 업체들의 점유율 확대는 일반적인 현상”이라며 “편의점 왕국인 일본에서도 최근 10년 사이에 빅3 중심의 시장 개편이 이뤄진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규모의 경제, 상품력 차이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볼 수 있으며 한국 시장에서도 향후 빅2의 점유율 확대가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