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7대 어젠다]빚 늘고 일자리 최악…‘경제의 허리’ 40대 휘청인다

입력 2018-10-12 04: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 정책서 소외된 ‘IMF 세대’…자녀 양육·노후준비에 안간힘 쓰지만 실질소득 최근 4년간 ‘제자리걸음’

수도권에 거주하는 40대 가장 A 씨는 아내, 자녀 둘과 생활하는 비정규직이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후 일자리 정책을 강화한다고 해서 큰 기대를 걸었다. 그러나 정부의 일자리 대책은 40대인 A 씨를 만족시키지 못했다. 대부분 2030이나 5060을 위한 청년, 고령층 대책이었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에서 40대는 2030과 5060 사이에 끼인 세대다. 40대는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해 ‘경제의 허리’로 불린다. 가족을 먹여 살려야 하는 가장이기도 하다. 인터넷 포털에서 40대를 주제로 한 책들을 검색하면 ‘40대 여성, 이제부터가 진짜 인생의 시작이다’, ‘아파하기엔 당신은 너무 젊다’, ‘이제는 건강에 미쳐라’, ‘왜 망설이고만 있는가’ 등 40대를 집중 조명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책만 보면 뭔가 인생을 다시 살아야 할 것 같지만 지금 40대는 그럴 여력이 없다.

무엇보다 정부 정책에서는 소외돼 있다. 최대 39세까지는 각종 정책에서 청년에 해당하지만 40세부터는 아니다. 기업에서는 20~30대 신입 직원이나 저임금으로 일할 수 있는 50대 경력자들을 선호한다. 40대는 선호 대상 연령층이 아니다.

40대의 또 다른 이름은 ‘IMF 세대’다. 20대 취업 시기에는 외환위기가 덮쳐 일자리를 구하는 게 쉽지 않았다. 5년 뒤인 2003년 카드 사태, 다시 5년 뒤 글로벌 금융위기도 이들의 고용 불안을 가중시켰다. 그러다 보니 40대의 금융자산 대비 부채 보유액이 가장 많다. 40대의 부채가 가장 많은 이유는 주택 구매비용 증가와 전세난 등으로 주택 구매에 나선 실수요자가 많기 때문이다. 부모 부양과 자녀 양육비, 주거비, 생활비 등 돈 쓸 곳이 많은 40대의 현금이 부동산 등 실물 자산에 묶여 있어 생활비 마련을 위한 생계형 부채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40대 가구주(2인 이상)의 ‘처분가능소득’은 393만4000원으로 2015년(392만4000원)에 비해 0.27% 늘어나는 데 그쳤다. 세금·공적연금·사회보험 등 불가피한 지출을 빼고 가계가 소비에 쓸 수 있는 실질적 소득이 4년간 ‘제자리걸음’이었다는 얘기다. 이는 소득이 가장 많은 50대(8.9%)는 물론 전체 평균(3%)에도 미치지 못한다. 전반적인 경기 침체로 들어오는 돈은 많지 않은데 고정적으로 떼가는 돈은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 민간연구원 연구원은 “40대는 경제활동인구에서 생산성이 가장 높은 연령대”라며 “50대 이상을 겨냥한 신중년 일자리 정책 대상의 하한선을 40대까지 확대하거나 청년 대책 대상의 상한선을 40대까지 올려 사실상 정책 공백 상태인 40대를 구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