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도 ‘NO 화웨이’… 5G 장비 선정 속 타는 이통사

입력 2018-08-27 10: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보안 우려 미국·호주 이어 입찰 배제... 내년 3월 5G 상용화 차질 가능성

미국과 호주에 이어 일본도 화웨이 5G 통신장비 사용을 금지하면서 장비 선정을 코앞에 둔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근심이 커지고 있다. 내년 3월 5G 상용화를 위해서는 내달까지 통신장비 업체 선정을 마무리지을 예정이었지만 상황이 녹록지 않아서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정보 유출을 우려해 정부 차원의 정보시스템을 도입할 때 중국 화웨이를 입찰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앞서 미국 정부는 최근 모든 정부기관에 화웨이 제품 사용을 금지했다. 최근 호주 정부도 5G 이동통신 사업에 화웨이를 배제하겠다는 뜻을 밝힌바 있다.

그동안 미국 정부는 화웨이와 중국 정부의 관계 때문에 화웨이가 공급하는 장비가 스파이 활동에 쓰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화웨이는 중국 정부의 통제를 받는다는 의심을 강하게 부인해왔다. 하지만 호주에 이어 일본까지 통신장비 도입을 금지하면서 화웨이는 비상이 걸렸다.

5G 통신장비 선정을 서둘러야 하는 국내 통신사들도 고민에 빠졌다. 통신사들은 그동안 화웨이 통신장비 도입을 유력하게 검토해왔다. 삼성전자와 노키아 등 경쟁사와 비교해 가성비가 월등히 높은 점이 도입 이유로 꼽혔다. 실제로 LG유플러스는 화웨이 통신장비 도입을 기정사실화하기도 했다. SK텔레콤과 KT는 아직 화웨이 5G 통신장비 도입에 대해 공식적인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업계에선 오는 9월까지 5G 통신장비 업체를 선정하지 못하면 내년 3월 상용화도 늦춰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통신은 국가 기간망이기 때문에 단순히 사업성만 놓고 판단할 수가 없다”며 “보안 문제로 화웨이 통신 장비 도입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면서 시간이 지체될 경우 자칫 5G 상용화 시기까지 늦춰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이어 “상용화 시점에 맞춰 출시 예정된 스마트폰이 없는 데다 통신장비 선정 업체 지연까지 겹치면서 상황이 좋지 않다”며 “5G를 체험해 볼 수 있는 시제품 정도야 올해 말이면 개발할 수 있지만 실제 스마트폰에 적용해 소비자들이 쓸 수 있는 상용폰이 나올 수 있을지 걱정이 되는게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주무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면서 통신사들의 고민을 덜어주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이 이통 3사 CEO를 만난 자리에서 “화웨이를 포함해 5G 장비업체를 직접 살펴보겠다”고 언급한 내용이 보도됐다. 하지만 행사 직후 과기정통부는 공식 입장을 통해 “5G 통신장비 검증은 장비를 도입하는 이동통신사가 직접 수행해야 한다”고 관련 보도를 부인했다.

세계 무선 통신장비 시장점유율 1위(28%) 업체인 화웨이는 앞선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파격적인 조건까지 내걸면서 국내 5G 장비 수주에 사활을 걸고 있다. 화웨이는 특히 중국 정부의 통제를 받는다는 보안 관련 의혹을 전면 부인하면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해명에 나서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