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현대차 투자협약 협약 또 연기…노동계 반발에 발목

입력 2018-08-24 10: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광주시와 현대자동차가 추진 중인 완성차 공장 투자협약이 노동계의 반발 탓에 또 한 차례 연기됐다. 양대 노총이 이번 투자협약을 ‘재벌 특혜’라며 강하게 반발하는 가운데 광주시는 “노동계를 포함한 투자협의체를 새로 구성하겠다”며 노동계 달래기에 나섰다.

이병훈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은 23일 시청에서 간담회를 열고 “광주형 일자리를 기반으로 하는 완성차공장 투자 협상을 8월 안에 이루고자 노력했으나 노사민정 간에 원만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안타깝게 지연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광주시 민선 6기 후반인 지난 6월, 시(市)는 현대차와 협약 체결을 예정했지만 세부사항 조율을 놓고 이견을 보이면서 협약이 한 차례 연기됐다. 당시 윤장현 시장 임기 안에 기업과 투자협약 결과를 끌어내기 위해 맹목적으로 협약식에 집중했다는 시각도 이어졌다.

이 부시장 역시 “노사 상생의 광주형 일자리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해보는 어려운 일인 데다 민선 6기 말에 업무추진을 서두르다 보니 미숙한 면이 적지 않았다”며 “특히 노동계와 소통이 부족했던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무산됐던 투자협약은 6.13 지방선거 이후 민선 7기(이용섭 시장) 체제가 출범하면서 다시 속도를 냈다. 광주시는 세부 합의를 마치고 8월 중 협약 체결을 공언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노동계의 거센 반발이 이어지면 투자협약이 난관에 봉착했다. 기업과 노동계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채 광주시가 무리하게 투자 유치에 치중했다는 비판도 이때 나왔다.

노동계 반발에 사실상 8월 투자협약이 무산된 가운데 이병훈 부시장은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원칙을 가지고 추진해 나가겠다”며 “시와 현대차가 진행해온 투자협약에 노동계를 참여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사실상 노동계 반발을 받아들이고 대타협적 협상결과를 끌어내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노동계의 주장도 본격화됐다. 한국노총은 최근 광주시에 공문을 보내 현대차와의 협상 내용을 모두 서면으로 공개하고 협상과정에 노동계의 참여를 요구했다. 특히 현재 진행하고 있는 광주시와 현대차의 협상을 광주형 일자리가 아닌 ‘기업 비위 맞추기’로 단정하고 노사민정협의회를 탈퇴하기도 했다. 광주시와 한노총의 갈등이 불거지는 가운데 민주노총도 현대차와의 협약 추진을 ‘재벌 특혜’라며 반발했다.

광주시가 현대차와의 협약을 통해 새로 설립할 자동차 공장에는 자본금 2800억 원을 바탕으로 차입금 4200억 원이 더해진 총 7000여억 원이 투입된다. 광주시는 자기자본금 가운데 21%인 590억 원을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우회 투자하고, 현대차는 530억 원(19%)을 투자한다는 계획이었다. 나머지는 투자유치를 통해 조달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