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취업자 수 10만명대 증가

입력 2018-07-11 10: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월 급감 기저효과일 뿐…5개월 연속 ‘고용 한파’

지난해 동기보다 7만2000명까지 축소됐던 5월 취업자 수 증가 폭이 6월 들어 10만 명대를 회복했다. 하지만 경제활동인구가 8만 명 증가하는 데 그쳤고, 제조업 등의 취업자 수 감소 폭이 확대되는 등 전반적으로는 부정적 흐름을 이어갔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12만600명으로 지난해 6월보다 10만6000명 느는 데 그쳤다. 2월 이후 5개월째 10만 명대 이하 증가 폭이다. 5월과 비교해선 증가 폭이 다소 확대된 모습이지만, 지난해 6월부터 취업자 수 증가 폭이 급감한 데 따른 기저효과를 고려하면 회복세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고용 둔화의 가장 큰 배경은 인구 감소다. 6월 15세 이상 인구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3만7000명 늘었는데, 이 중 8만 명만 경제활동인구로 편입됐다. 증가분의 대부분이 65세 이상에 쏠린 탓이다. 나머지는 비경제활동인구로 편입됐는데, 대부분 육아·가사나 재학·수강 등 특별한 활동 없이 쉬고 있었다. 구직단념자는 51만1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만6000명 늘었다.

여기에 경기적 요인으로 인한 일부 산업의 불황도 계속되고 있다. 산업별 취업자 증감을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6만2000명), 공공행정·국방 사회보장행정(9만4000명), 금융·보험업(6만6000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큰 폭으로 늘었으나, 기존에 어려움을 겪던 제조업(-12만6000명), 교육서비스업(-10만7000명) 등은 감소 폭이 더 확대됐다.

종사자 지위별로는 상용직이 36만5000명 증가했음에도 임시직과 일용직에서 각각 13만 명, 11만7000명 감소했다. 자영업자도 1만5000명 줄었다.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경기적 흐름이나 인구구조 변화 등을 고려했을 때 좋지 않은 흐름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실업자 수는 103만4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만6000명 감소했다. 실업률도 3.7%로 0.1%포인트(p) 하락했다. 15~29세 청년의 경우 실업자가 7만4000명 줄고 실업률은 1.4%p 하락한 모습을 보였다.

이는 지난해 6월 치러진 공무원시험 일정이 올해 5월로 조정된 데 따른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보인다. 지난해 6월에는 공무원시험 응시생들이 일시적으로 경제활동인구(실업자)로 집계되면서 실업률이 상승했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