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성 기여율, 차익거래유인 14.4%→0.2%, 글로벌리스크 0%→2.6%, 국가리스크 0%→0.7%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외국인의 원화채권투자 요인은 단순 금리차나 무위험 금리차를 노린 소위 차익거래보다는 글로벌 리스크나 국가 리스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이같은 분석은 금융위기 당시 금융당국이 취한 소위 거시건전성 3종세트(외환 건전성 부담금, 선물환 포지션 규제, 외국인 채권투자 과세) 규제를 제대로 반영한 것은 아니어서 분석의 한계는 있어 보인다.
유복근 한국은행 미시제도연구실 연구위원이 3일 발표한 ‘BOK 경제연구,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외국인의 채권투자 결정요인 변화 분석: 한국의 사례’ 보고서에 따르면 회귀분석 결과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2004~2007년) 외국인의 채권순유입에 유의미한 변수였던 단순금리차(2.431)는 위기 이후(2010~2017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글로벌 리스크는 같은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1.994→-0.519)을 보였다.
또 변동성을 분해한 결과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14.4%를 설명하던 차익거래유인은 위기 이후 0.2%로 뚝 떨어졌다. 반면 글로벌 리스크와 국가 리스크는 각각 0.0%에서 2.6%와 0.7%로 높아졌다.
이 분석은 1년물 국채수익률을 사용한 것으로, 잔존만기 3년물 국채수익률과 통화스왑(CRS) 금리를 이용한 분석도 결과가 유사했다.
유 연구위원은 “이런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위기 이전에는 차익거래유인이, 위기 이후에는 글로벌 및 국가 리스크가 외국인의 채권순유입을 결정하는데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이는 위기이후 외국인 투자자금 성격이 중앙은행 등 공적자금 위주로 재편되고 투자기간도 장기화하고 있는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실제 2008년 10%에 그치던 중앙은행과 국부펀드 등이 포함된 공적자금 보유잔액 비중은 2017년 71%까지 늘었다. 또 잔존만기 3년 이상 투자 비중도 같은기간 22%에서 48%로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