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 파업 찬반 투표 가결… 7년 연속 파업 수순

입력 2018-07-03 04: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제공=현대자동차 노동조합)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7년 연속 파업에 들어갈 가능성이 커졌다. 올해 임금협상과 관련한 파업 찬반투표를 가결했기 때문이다.

현대차 노조는 2일 전체 조합원 5만417명이 참여한 쟁위 행위 찬반 투표에 4만4782명(투표율 88.82%)이 참여해 약 73%인 3만3084명이 찬성했다고 밝혔다. 반대표를 던진 조합원은 투표자 가운데 25.96%인 1만1629명이다.

중앙노동위원회가 10일간의 조정 기간을 거쳐 2일 조정 중지 결정을 내려, 노조는 당장 합법 파업에 돌입할 수 있다. 노조는 파업 일정을 논의하고 있으며, 3일 오후 쟁의대책위원회를 열고 파업 여부와 일정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와 별도로 노조는 상급노조인 금속노조의 총파업에 동참해 13일 6시간 파업을 확정한 상태다. 노조가 올해 파업에 돌입하면 7년 연속이다.

노조는 5월 3일 상견례 후 올해 임협을 시작했다. 이후 이어진 교섭에도 합의가 평행선을 그리자, 노조는 지난달 20일 12차 교섭에서 결렬을 선언하고 중노위에 조정을 신청했다. 노조는 교섭에서 기본급 대비 5.3%인 11만6276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등을 회사에 요구했다. 아울러 수당 간소화와 임금체계 개선, 조건 없는 정년 60세 적용, 해고자 복직, 고소·고발 철회 등을 제시했다.

노조는 이어 특별요구안으로 사내하청 임금 7.4% 인상, 하청업체 부당계약 등 공정거래법 위반 근절대책 마련, 납품단가 후려치기 근절 등도 요구했다. 사측은 기본급 3만5000원 인상(호봉승급분 포함), 성과금 200%+100만원 지급 등을 담은 일괄제시안을 이날 교섭 테이블에 올렸지만, 노조는 이를 거부했다.

올해에는 광주형 일자리 공장 투자와 맞물려 노사 갈등을 빚고 있어 임단협 타결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를 강행하면 임협과 연계해 강력히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