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지방 ‘큰 손’마저 사라졌다

입력 2018-05-29 10:00수정 2018-05-29 10: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이어지면서 서울 아파트에 대한 지방 수요자의 관심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온나라부동산정보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관할시도 외’에 거주하는 매입자가 사들인 서울 아파트는 1792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4334건)대비 60% 가까이 감소한 수치다. 연초 1월(3379건), 2월(3063건)과 비교해도 한 참 밑도는 수준이다. 작년 4월(2352건)보다도 24% 가량 적다.

서울시 내 25개 자치구에서 지방 거주자 매입이 증가한 곳은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대비 가장 큰 감소폭을 보인 지역은 강남구로 나타났다. 지난 3월 관할시도외 매입자의 강남구 아파트 거래는 259건이었으나, 지난달에는 100건을 훨씬 밑돈 63건으로 집계됐다. 변동폭은 마이너스(-) 75.7%였다.

‘강남4구’ 중에서는 서초구 감소폭도 컸다. 같은 기간 서초구 아파트의 거래량은 341건에서 84건으로 줄어 75.4% 급감했다. 송파구(291→119건, -59.1%), 강동구(196→102건, -48%)도 줄었으나 그 폭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거래량 감소폭이 70%를 웃돈 지역은 △용산구(152→42건, -72.37%) △광진구 59→15건, -74.6% △노원구(320→96건, -70%) △은평구(268→80건, -70.1%) △구로구(327→96건, 70.6%)로 각각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거래는 지난달부터 급격히 둔화돼 그 여파가 이달까지 이어지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이 집계한 이달 서울 아파트거래량(28일 기준)은 4560건으로 집계됐다. 일평균 약 163건 발생한 수준이다. 이는 올해 들어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지난 3월(1만3851건)의 일평균 거래량(약 447건)과 비교하면 60% 이상 급감했다.

서울 아파트 거래는 지난달 청약조정지역 내 다주택자를 대상으로 양도소득세 중과가 시행되면서 급격하게 감소했다. 지방 수요자 역시 정부에서 내놓은 규제책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가수요를 차단하기 위한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가 나온 영향으로 볼 수 있다”며 “지방 거주자가 서울 아파트를 사는 것은 실수요가 아닌 투자수요로 판단할 여지가 크기 때문에 (매입량 감소는) 규제책에 대한 영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