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소득 상승 전환했다고...이자ㆍ사회보험료 등 고려시 감소

입력 2018-04-15 10: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실질소득이 증가세로 전환된 가운데 이자와 사회보험료 등까지 고려하면 실제 가계 소득은 여전히 감소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5일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실질소득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지난해 4분기 1.6%를 기록했다. 가계 실질소득 증가율은 지난 2015년 2분기 이후 처음으로 플러스 전환했다.

그러나 실질처분가능소득은 여전히 부진한 상태다. 가계의 월평균 실질처분가능소득은 지난해 4분기 2.8% 감소했다. 실질처분가능소득은 가계의 소득에서 이자, 사회보험료, 세금 등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에 물가 상승분을 반영한 것으로, 가계의 실제 구매력과도 연관이 깊다.

이러한 실질처분가능소득의 증가율은 2015년 4분기(0.8%)를 끝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분기 가계의 실질처분가능소득은 전년 대비 3.1% 줄어들더니 2분기에는 -3.1%, 3분기에는 -5.1%로 감소 폭이 커졌다.

실질처분가능소득이 줄어든 것은 세금, 사회보험료와 같은 비소비지출이 늘었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가계의 월평균 명목 소득은 3.1% 늘었는데 비소비지출은 더 큰 폭인 12.5% 증가했다.

비소비지출에서도 연금(3.8%), 사회보험료(3.7%), 이자비용(7.7%), 가구 간 이전지출(46.7%) 등의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국회예산정책처 관계자는 “실질소득 증가는 내수 진작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라면서도 “실질처분가능소득이 여전히 부진한 상황이어서 가계소득 개선 추이가 지속할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