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보사, 작년 실손보험 위험손해율 9.6%p 개선

입력 2018-04-15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해 실손의료보험의 위험손해율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말 보험사의 실손의료보험 위험손해율이 121.7%로 전년(131.3%) 대비 9.6%포인트 하락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발생손해액의 증가가 위험보험료보다 상대적으로 둔화한 영향이다. 위험보험료 증가율은 17.1%에 달했으나 발생손해액 증가율은 전년(27.7%)보다 감소한 8.5%에 그쳤다. 위험보험료는 6조 2198억 원, 발생손해액은 7조5668억 원으로 조사됐다.

특히 손보사의 위험손해율 개선폭이 컸다. 지난해 손보사의 위험손해율은 123.6%로 전년(135.0%)보다 11.4%포인트 내려갔다. 생보사의 위험손해율은 전년(112.2%)보다 1.3%포인트 내려간 110.9%로 집계됐다.

상품종류별로는 자기부담금이 없는 표준화전실손의 손해율은 131.5%로 표준화실손(116.5%)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신실손보험의 손해율은 판매초기이므로 58.6%로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지난해 말 개인실손의 보유계약은 3419만건으로 전년말(3332만건) 대비 2.6%(87만건) 증가했다. 국민 5178만명의 66.0% 수준이 실손의료보험에 가입해 있는 것이다.

보유계약 중 손보사가 81.5%(2787만건)를 점유하고 있다. 다만 표준화 이전 상품의 높은 보험료 등으로 해약이 증가해 손보 점유율은 점차 하락하고 있다. 지난 2009년 10월 실손의료보험 상품구조를 상해(입·통원), 질병(입·통원) 등으로 표준화 한 바 있다.

보유계약의 증가에 힘입어 지난해 보험료수익은 7조 4071억 원을 시현해 전년 대비 15.4%(9861억 원) 늘어났다.

금감원은 “올해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추진에 따라 실손의료보험의 손해율 개선이 예상돼 보험료를 인상하지 않았으나 비급여 항목의 급여화 일정 등에 따른 손해율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