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백사마을 정비사업 4년 만에 본격…재생·재개발 병행

입력 2018-02-22 13:3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출처=서울시)
서울시는 불암산 밑자락 구릉지에 자리한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 '백사마을'(노원구 중계동 104번지 일대 총 18만8900㎡)이 4년여 만에 정비사업에 본격 돌입한다고 22일 밝혔다.

정비사업은 보전에 방점을 둔 도시재생과 전면철거 방식의 재개발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서울시는 백사마을 전체 부지(18만8900㎡) 가운데 공공임대주택 건설이 예정된 부지 약 4만2000㎡(약 22%)에 '주거지보전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지형, 골목길, 계단길, 작은마당 같이 60~70년대 서민들의 주거·문화생활사를 간직한 주거지 특성을 보전하면서 지상 1~3층의 저층형 임대주택(698세대 규모)을 건립하는 것이 핵심이다.

나머지 부지(14만6900㎡)는 노후한 기존 주택을 철거하고 아파트 단지(1840세대 규모)가 들어서게 된다.

서울시는 작년 7월 새로운 사업시행자로 선정된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주거지보전사업을 포함한 '백사마을 정비계획 변경 입안제안서'를 지난 6일 해당 자치구(노원구)에 제출했다. 향후 자치구 주민설명회 및 주민공람, 서울시 도계위 심의 등을 거쳐 오는 6월 말 정비구역 변경 지정하고 연내 사업시행인가를 목표로 추진한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23일 백사마을 정비사업 추진을 위한 거점공간인 '104♡랑 재생지원센터' 개소식을 갖는다. '104♡랑 재생지원센터'는 백사마을 입구 인근 건물(3층)을 시가 임대해 조성됐으며, 회의실, 교육장, 카페 등을 갖춘 주민열린공간으로 운영된다.

백사마을은 1967년 도심개발로 청계천 등에 살던 주민들이 이주하면서 형성된 마을이다. 2009년 주택재개발 정비사업구역으로 지정되면서(사업시행자 LH공사) 재개발 사업을 시작했지만 사업시행자의 무리한 정비계획 변경 요구와 주민갈등 등으로 사업이 장기간 정체됐다.

아울러 서울시는 백사마을 정비사업 정상화에 발맞춰 작년 초부터 TF(백사마을 주거지보전사업의 실현을 위한 TF)를 운영하고 총괄MP(해안건축 이광환 소장)를 위촉해 시, 노원구, 사업시행자, 주민대표회의 간 협의를 통해 이번 통합 정비계획을 수립했다.

한편, 서울시는 주거지보전사업이 정비사업의 새로운 유형으로써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서울특별시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조례' 개정을 통해 근거를 마련할 예정이다. 주민 스스로 주택을 관리하고 마을공동체를 활성화하는 새로운 관리유형을 마련하기 위한 용역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백사마을 주거지보전사업은 가족과 이웃이 삶을 함께했던 마을이 사라져가는 전면철거 재개발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60~70년대 과거(보전)와 현재(공동주택)가 공존하는 새로운 방식의 정비사업"이라며 "지역의 특색을 유지하고 이웃이 어울려 살아가는 저층주거지의 가치를 회복시키는 서울형 주거재생의 한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