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연초부터 사정 칼날에 ‘초긴장’···다음 대상은?

입력 2018-01-11 07: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 해부터 이어진 사정기관의 칼날이 새해 들어서도 멈추지 않으며 건설업계의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10일 검찰과 경찰 등 사정기관에 따르면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전날 약 9시간 동안 대우건설의 종로구 본사와 강남지사 사무실 등 3곳을 전격 압수수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압수수색에서 경찰은 각종 계약서와 관련 회계자료를 압수했는데 대우건설은 지난해 9월 재건축 시공권을 확보한 ‘신반포 15차’ 재건축 조합원들에게 금품을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같은 날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세조사부는 부영그룹 사옥에서 부영주택과 계열사 등의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검찰은 조세포탈과 횡령 혐의 등 수사를 위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분양전환 공공임대주택 사업에서 분양가를 높여 부당이득을 챙겼다는 의혹과 해외 현지법인에 송금한 자금 중 일부를 비자금으로 조성했다는 의혹 등을 살펴보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은 지난 해부터 이어지고 있다. 지난 연말만 하더라도 SK건설이 공사 입찰과정에서 뇌물을 건넨 혐의로 본사가 압수수색을 당했고 대림산업도 하청업체들로부터 청탁과 함께 금품을 받은 혐의로 압수수색과 수사를 받았다.

롯데건설 역시 한신4지구 재건축 과정에서 금품을 살포했다는 의혹으로 압수수색을 당했다.

건설업계는 새해 들어서도 계속해서 사정기관이 업계를 압박해 오자 긴장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자칫 불똥이 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재개발.재건축 수주전에 대한 수사가 본격화 될 것이란 전망까지 더해지며 향후 수주 전략 마련에도 부산한 모습니다.

실제로 과열 양상을 보이던 재건축 수주전이 급격이 냉각 기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1월 진행된 서울 서초구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만 하더라도 현대산업개발이 단독으로 참여하며 유찰된 바 있다.

이같은 검경의 잇단 건설업체 압수수색은 강남 재건축 시장의 긴장감을 부여키 위한 것이라는 게 관련 업계의 중론이다. 실제로 지난 해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과도한 이사비 제공 등으로 국토부까지 나서며 홍역을 앓은 바 있다.

일각에서는 수사권을 놓고 검찰과 경찰 간 갈등을 빚고 있는 점도 최근 건설업계에 대한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의견도 있다. 실제로 경찰과 검찰은 경쟁적이란 표현이 부족하지 않을 정도로 건설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건설업계는 잘못은 인정하면서도 일정부분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재건축 수주전 문제가 하루이틀 된 것도 아닌데 부동산규제와 맞물려 한번에 너무 몰아붙인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는 것이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최근 각종 규제로 시장 하향세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사정기관들이 경쟁적으로 압박하며 업계가 더 위축되고 있다”며 “올해 사업계획은 고사하고 수사만이라도 피하자는 게 지금 건설업계의 분위기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