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 “랜섬웨어 ‘워너크라이’ 대란 배후는 북한”

입력 2017-12-20 12: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MSㆍ페이스북, 북한 해커조직 ‘라자루스’ 계정 삭제 조치 취해

미국 백악관이 지난 5월 전 세계를 혼란에 빠뜨린 랜섬웨어 ‘워너크라이’ 배후에 북한 정부가 있다고 공식적으로 지목했다.

1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톰 보서트 백악관 국토안보 보좌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개입했다는 증거가 있다”며 “영국과 호주 일본 캐나다 뉴질랜드 정부와 정보를 공유했으며 이들은 미국의 결론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보서트는 이날 WSJ에 게재한 사설에서 “도널드 트럼프 정부는 사이버 세계와 그밖의 다른 곳에서 북한의 공격 능력을 억제하기 위해 최대한의 압력을 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워너크라이는 PC 내부의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나서 복구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랜섬웨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 많은 컴퓨터가 해킹 피해를 봤으며 영국 일부 병원 기능이 마비되기도 했다.

워너크라이 대란에 보안기업들은 북한의 소행이라고 지적했지만 미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이런 견해를 밝힌 것은 처음이다. 북한 해커들은 2014년 영화 ‘인터뷰’에 대한 반발로 소니 웹사이트 등을 해킹해 막대한 피해를 입혔으며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결제시스템에 침입해 돈을 빼돌린 혐의도 받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브래드 스미스 사장 겸 최고법률책임자도 이날 성명에서 “북한 대표 해커조직으로 알려진 ‘라자루스’에 대해 계정 사용 중단 조치를 취했다”며 “윈도OS의 보안 기능도 강화했다”고 밝혔다. 페이스북도 라자루스 계정 삭제 조치를 취했다.

보서트 보좌관은 “MS와 페이스북 등 기술기업들의 협력에 감사한다”며 “미국 정부는 사이버 공격 대상이 되는 회사들에 더 많은 지원과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