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자율주행차 '협력주행' 시연…보이지 않는 곳까지 감지해 낸다

입력 2017-11-20 18: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여주시험도로서 관련기술 시연, 2020년 일반도로에 기술 접목

▲국토부가 도로 인프라 및 주변 주행차와 통신을 통해 원활한 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돕는 '자율협력주행' 기술을 시연했다. 사진은 지난 8월 경기도 화성 교통안전공단에서 자율주행차를 시승하고 있는 김현미 장관의 모습. (사진제공=국토부)

자율주행차 기술이 속속 발달하는 가운데 도로 인프라는 물론 다른 차와의 통신을 통해 안전한 주행을 가능케하는 '자율협력주행' 기술이 선보였다. 전방 도로의 상황을 다른 차 또는 도로 시설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미리 대응하는 방식이다.

국토교통부(국토부)는 20일 중부내륙고속도로 여주시험도로에서 7가지 자율협력주행 기술을 시연하는 국제행사를 열었다. 이날 시연에는 국내 연구진뿐만 아니라 미국 교통부, 유럽 도로교통 텔레메틱스 추진기구(ERTICO, 유럽의 지능형교통체계 연구․감독기관) 등 주요 선진국의 정부 담당자도 참석했다.

기존의 자율주행은 자율주행차에 장착된 감지기(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를 기반으로 주변상황을 인식하며 달린다. 그러나 먼 거리나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상황은 감지기가 인지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자 단점으로 꼽힌다. 때문에 완벽한 수준의 자율주행을 시도하기 위해서는 주변 다른 자동차와의 통신, 또는 다른 도로 인프라 등을 이용해야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로 인프라 혹은 다른 자동차에서 정보를 받아 사람의 개입 없이 스스로 방향전환, 감속하는 것이 ‘자율협력주행’ 기술의 핵심이다.

이날 국토부 시연행사에서는 자율주행차가 시속 80km로 주행하다 감지기가 인식하기 어려운 7가지 상황을 가정해 속도를 줄이거나 차로를 변경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차로변경 상황은 △전방에 작업구간이 있는 경우 △후미등이 보이지 않는 ‘전전방’ 차가 급정거하는 경우 △전방에 고장 자동차(장애물)가 서 있는 경우 등이다.

이어 차가 스스로 속도를 줄이는 감속 상황은 △우측 사각지대에서 다른 자동차가 진입하는 경우 △앞쪽 도로가 얼어있는 경우 △주행차로가 줄어드는 경우(이후 차로변경) △다른 자동차가 갑자기 끼어드는 경우 등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국토교통부가 추진 중인 ‘스마트 자율협력주행 도로시스템 개발 연구’의 중간결과물이다. 이번 시연은 폐쇄된 도로인 여주시험도로에서 진행되지만 국토부는 연구가 완료되는 2020년에는 일반도로에서 자율협력주행이 가능토록 할 계획이다.

앞서 국토부 산하 한국도로공사는 2015년부터 5년 계획으로 275억 원을 투자해 스마트 자율협력주행 도로시스템 연구에 착수한 바 있다.

국토부는 "향후 자율협력주행 기술이 더 발전한다면 미래 도로는 단순한 이동공간인 ‘도로망’에서 서비스공간인 ‘디지털망’으로 탈바꿈한다"며 "모든 자동차와 인프라, 운전자가 연결되는 ‘초연결사회’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