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美 연준 보유자산 축소, 국내금리 동반상승 제한적”

입력 2017-09-21 10: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1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고형권 기재부 1차관(오른쪽 두 번째) 주재로 53차 거시경제금융회의가 열리고 있다.(기획재정부)

우리 정부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보유자산 축소 결정으로 인한 국내 금리의 동반상승 정도는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와 관계기관은 21일 기획재정부 고형권 1차관 주재로 서울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는 윤면식 한국은행 부총재와 박세춘 금융감독원 부원장,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정규돈 국제금융센터 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미 연준의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및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앞서 미 연준은 이날 오전 기준금리(1.0~1.25%)는 동결한 반면, 10월부터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를 개시하기로 결정했다.

고 차관은 “시장에서는 예상했던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어 실제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이번 미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 결정이 미국의 장기금리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파악했다.

또 “매월 축소규모가 크지 않은 점 등을 감안할 때 급격한 금리 상승 가능성이 낮고 국내 금리의 동반상승 정도도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며 “12월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도 남아, 향후 글로벌 자금 흐름과 국제금융시장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올해 우리경제는 비교적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나, 선진국 통화정책의 기조적 변화 가능성,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등 리스크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며 “미 연준의 추가적인 금리인상 여부, 유럽중앙은행(ECB)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가능성 등 시장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에 대한 모니터링과 분석을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