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저장장치(ESS) 보급, 1년 전 보다 1.6배 늘어

입력 2017-07-05 11: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업통상자원부는 청정ㆍ스마트 에너지시대의 핵심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의 국내 보급이 전년에 비해 1.6배 늘었다고 밝혔다.

올 상반기 ESS 보급은 89MWh로 전년 동기(55MWh)대비 약 60% 증가했다.

하반기 투자계획을 조사한 결과, 연말까지는 431MWh가 보급돼 연초에 설정했던 목표(270MWh)를 휠씬 넘어설 전망이다. 431MWh는 지난해 실적(225MWh)의 1.9배 수준에 달한다.

투자 주체별로 보면, 민간의 투자가 급격히 늘어났는데, 지난해 상반기 1MWh 수준에 그쳤던 민간 투자는 올해 상반기 40MWh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는 ESS 전용금융상품 집행 효과(20MWh) 등으로 연말까지 192MWh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했다.

공공 투자는 상반기에 한전의 주파수조정용 사업 감소로 전년(54MWh)대비 9% 감소한 49MWh에 그쳤다. 하반기에는 신재생연계형 투자수요 확대로 연말까지는 전년대비 61% 증가한 239MWh를 기록할 전망이다.

용도별로는 지난해 상반기 실적이 없었던 신재생연계형 보급이 대폭 늘어난 가운데 피크저감용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신재생연계형의 경우 지난해 9월 신재생 연계형 REC 가중치 5.0 부과 등을 통해 올해 상반기에는 42MWh로 확대됐다.

하반기 영흥(18MWh), 삼천포(32MWh) 등 석탄화력내 태양광연계 ESS 구축 등에 힘입어 전년대비 2배 증가한 220MWh가 구축될 전망이다.

비상전원용은 ESS를 비상전원으로 허용하기 위한 안전규정을 지난해 7월 정비한 이후 상반기 7MWh로 대폭 확대됐다.

피크저감용은 상반기에는 5MWh로 전년(9MWh)대비 다소 감소했으나, 하반기에는 H사(조선), S사(반도체) 등 주요 기업의 대기수요가 투자로 이어져 연말까지는 전년대비 3.1배 증가한 160MWh가 보급될 예벙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ESS 보급 증가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집중된 인센티브 강화조치와 새 정부의 청정ㆍ스마트 에너지정책에 대한 기대감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며 “산업부는 ESS산업이 에너지 신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초기시장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특례요금제, 정부보조, 융자지원, 전용금융상품 출시 등 다양한 인센티브 지원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