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외국인 직접투자 줄었다…200억 달러 달성 '빨간불'

입력 2017-07-04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표=산업통상자원부)
세계경기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올해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투자 200억 달러 목표 달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을 발표하고 지난 1분기 외국인이 국내에 직접 투자한 금액은 96억 달러(신고기준)로 1년 전과 비교해 9.1% 감소했다고 밝혔다. 실제 FDI 집행 규모를 보여주는 도착 기준으로도 4.4% 감소한 49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투자 의향을 밝히는 선행지표 성격을 갖는 FDI 신고액이 줄어든 것은 주요 투자국 중 EU와 중국의 투자 감소가 큰 영향을 미쳤다.

산업부는 "(외국인 직접투자 감소는) 미국의 2차례 금리 인상, 신보호무역주의,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협상, 중국의 외환통제 강화 등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고조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산업부는 중국, 일본 등 아시아지역의 FDI가 크게 위축되는 녹록치 않은 상황에서 외국인투자의 장기적인 상승 추세를 유지한 것으로 평가했다.

국가별로 보면 유럽연합(EU)의 신고액은 1년 전 같은기간보다 47.3% 줄어든 22억 달러에 그쳤다. 도착기준으로도 34% 급감했다.

브렉시트 협상의 불확실성, 유로존 양적완화(QE) 축소 논의 등으로 전반적으로 투자 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에 비해 1억 달러 이상 대형 M&A형 투자가 크게 감소한 것이 EU 발(發) 투자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파악됐다.

중국의 경우도 신고액이 4억7900만 달러로 32.3% 줄어들었다. 중국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 이후 외환보유고 관리를 위한 외환송금 규제ㆍ해외직접투자 심사기준 강화 등의 조치로 투자가 감소했다.

다만, 홍콩, 싱가폴 등 중국 외 중화권의 투자 신고액이 0.3% 늘어난 28억700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같은 기간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미국은 지난 4월 투자활성화를 위한 세제개편안 발표, 금리인상 등에도 불구하고 상반기 투자 신고액이 35% 증가한 24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다만, 도착기준으로는 7.8% 줄어든 6억 달러였다.

미국의 경우 1분기에는 감소세(-33.5%)였지만 2분기 64.7% 증가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한 28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력산업에 대한 투자가 제조업 부문 외국인투자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가운데, 특히, 화공(12.6% ↑)ㆍ의약(816%)ㆍ기계장비(50.2%) 분야 투자가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서비스업은 전년동기 대비 8.1% 감소한 66억8000만 달러다. 핀테크, 드론, 게임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부문으로 투자분야가 다변화되고 있고, 한국의 우수한 FTA네트워크를 활용하기 위한 물류업 투자도 상반기 134% 급증한 모습이다.

유형별로 그린필드형 투자는 특히 고용창출효과가 큰 서비스업 부문의 증가세에 힘입어 전년동기 대비 8.8% 증가한 78억9000만 달러를 나타냈다.

M&A형 투자는 전년동기 대비 48.3% 줄어든 17억1000만 달러로 제조업 부문(101%)이 크게 증가한 모습이다. 반면, 금융ㆍ보험(-77.1%) 등 서비스업 부문은 감소세를 보였다.

국제연합무역개발협의회(UNCTAD)는 글로벌 경기회복으로 올해 전세계 FDI가 약 5% 내외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미국 금리인상, 브렉시트 협상 등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는 2015년, 2016년 2년 연속 200억 달러를 돌파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하반기 외국인투자에 대해 현재로서는 예단하기는 어려우나 올해 목표치인 200억 달러 이상 달성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투자유치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외국인투자의 장기적 상승추세를 이어가는 한편, 일자리 창출 등 국민경제 기여도를 제고하기 위해 다각적인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우선 대통령 해외순방 등 주요 계기를 적극 활용해 투자환경설명회, 라운드테이블, CEO 개별 면담 등 투자유치활동(IR)을 전개하기로 했다.

또 주한상의ㆍ외투기업과의 고위급 간담회를 정례적으로 개최해 소통을 강화하고 증액 투자를 유도할 방침이다.

외국인투자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관련제도도 전면 개편한다.

산업부는 외국인투자 3대 인센티브(조세ㆍ입지ㆍ현금지원)의 지원 기준을 금액 중심에서 고용 효과 중심으로 전면 개편해 일자리 창출 유인을 제고키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오는 10월 '외투기업 채용설명회' 참가 기업을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한 120여개 기업으로 대폭 확대하고, 청년층 선호도가 높은 우수 외투기업으로의 취업 기회를 확대할 예정"이라며 "분기별로 고용 창출 우수 외투기업을 선정해 포상하는 제도를 신설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