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사드 보복에 한중 노선 37% 급감…항공사 노선 다변화 등 지원

입력 2017-04-19 11: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中 관광객 많은 제주, 청주, 무안 공항 피해 커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3월 한중 노선이 37.3%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3월 전체로는 22.5% 감소했다.(국토교통부)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이후 중국 노선이 37.3%나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관광객이 많은 제주와 청주, 무안 공항의 감소폭도 컸다. 정부는 항공사 노선을 다변화하는 등 긴급 지원 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3월 항공운송시장은 국제 및 국내 여객이 전년 동월 대비 8.9% 증가한 851만 명을 기록했다고 18일 밝혔다.

국제선 여객은 중국노선 감소(3월 전체 -22.5%)에도 불구하고 내국인 해외여행수요 상승, 일본·동남아 관광객 증가, 저비용항공사의 공급 확대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9.6% 성장한 607만 명을 기록했다.

국내선 여객은 중국노선 비운항에 의한 제주·김해공항 여유슬롯 및 여력기재의 국내선 운항 활용과 내국인의 제주여행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7.2% 증가한 244만 명 기록했다.

다만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한국행 단체여행 판매 제한이 시행된 3월 15일부터 3월말까지 중국노선(-37.3%)의 감소폭이 커지고 국제선 전체 여객 증가율도 둔화(4.1%)되고 있다.

특히 중국노선 비중이 높은 제주(-58.7%), 청주(-57.3%), 무안(-40.7%) 등 지방공항의 국제선 실적은 전년 동월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국토부는 항공수요 회복과 업계 피해 최소화를 위해 공항공사, 지자체 등과 함께 긴급 지원대책을 마련했따.

이번 대책은 항공수요 회복을 위한 △항공사의 노선 다변화 지원 △여행사·여행객 대상 인센티브 △공항 면세점 등 상업시설 피해 최소화 방안이 포함됐다.

우선 중국항공사가 운항을 취소하면서 반납한 슬롯을 동남아, 일본 등 해외노선 다변화를 위한 신규노선 등에 탄력적으로 제공한다.

지방공항 국제노선에 대해서 항공사의 여객 프로모션 비용(2억 원)을 지원한다.

인천공항은 일본 지자체-항공사-공항공사 협력을 통해 일본-인천-아시아권 신규 환승노선 개발과 마케팅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지방공항에 국제선 전세편을 유치하는 여행사에 지급하는 지원금을 연간 최대 1500만 원에서 최대 10억 원(1회 운항편당 250만 원)으로 확대하고 해외 현지 여행사 대상 마케팅(일본, 동남아, 러시아 등)을 실시한다.

인천공항은 중국인 개별관광객 유치를 위한 한류관광 등 테마상품을 개발하고 중국 개별관광객 특화 마케팅을 진행하는 한편, 공항 내 복합리조트와 연계한 스톱오버 상품(1~3일)을 5월부터 운영한다.

아울러 인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는 입점 업체 등과 협력해 경품제공, SNS 이벤트, 선불카드 제공 등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윤진환 국토부 항공정책과장은 "이번 대책을 통해 긴급하게 지원해 나가고 피해가 장기화될 경우 추가 대책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