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사드 압박 향후 2~3개월간 지속… 영향은 제한적”

입력 2017-03-23 15: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반도 사드 사드(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중국 정부의 경제적 보복이 앞으로 2~3개월간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앤드루 길홈 컨트롤리스크스 수석이사는 23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상의회관에서 연 ‘중국 규제 강화 시나리오 및 리스크 관리’ 세미나에서 “중국의 대일(對日) 경제보복에 비춰봤을 때 그 영향은 한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외교적 갈등으로 인한 중국 현지 기업의 경영상 어려움은 전혀 새로운 이슈가 아니다”며 “기업들은 현재의 외교적 문제와 상관없이 정책 및 규제 위험성에 중장기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중국에서 전통적 방식의 대관업무인 관시(關係)가 실효성을 읽어가고 있는 것에 대해 링 진 컨트롤리스크스 수석컨설턴트는 “변화의 가장 큰 배경은 중국의 리더십 변화와 규제 환경 변화”라고 진단했다.

관시는 정ㆍ관계 인사와의 긴밀한 관계가 사업의 성공 여부에 큰 영향을 주는 중국 특유의 관행이다.

따라서 그는 “현지의 대관팀은 기존 로비스트 역할에서 벗어나 정부 정책에 대해 조언해주는 업계 전문가 역할을 맡아 규제 당국과 윈윈하는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날 마이클 힉먼 컨트롤리스크스 이사는 ‘신창타이(新常態)’로 대표되는 시진핑 정부의 특징과 규제 강화 추세를, 김준우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는 중국 투자·교역 분쟁의 효과적인 해결방안에 대해 강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