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語 달쏭思] 신병확보(身柄確保)

입력 2017-02-22 10:5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병기 전북대 중문과 교수

최순실이 귀국한 후, 정유라가 어디에 머물고 있는지 알지 못해 기자들이 소재를 파악하느라 동분서주한 적이 있었다. 얼마 후, 덴마크 경찰이 정유라의 신병을 확보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신병을 확보했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일까? 확보(確保)란 확실히 보증하거나 갖춰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별로 어려울 게 없이 자주 사용하는 말이다.

문제는 신병이다. 신병은 한자로 ‘身柄’이라고 쓰며 ‘몸 신(身)’, ‘자루 병(柄:손잡이)’이라고 훈독한다. 따라서 신병은 직역하자면 ‘몸 자루’이다. 몸 자루라니? 이게 무슨 뜻인가? 국어사전은 신병을 ‘보호나 구금의 대상이 되는 본인의 몸’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柄’은 원래 ‘棅’으로 썼으며 ‘나무 목(木)+잡을 병(秉)’의 구조로 이루어진 회의자(會意字: 합쳐진 두 글자가 모두 뜻을 나타내는 글자)로서 ‘손으로 잡는 나무’, 즉 ‘나무로 만든 손잡이’를 뜻하는 글자이다. 그런데 한자는 발음이 같으면 서로 빌려 쓰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현상을 통가(通假)라고 하며 그렇게 통가하는 글자를 가차자(假借字)라고 한다. 秉과 丙은 발음이 같기 때문에 서로 통가하여 ‘棅’과 ‘柄’을 같은 뜻으로 사용하다가 후대에 이르러서는 필획이 보다 더 간단한 ‘柄’을 일상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모든 손잡이, 즉 자루는 손으로 잡아 쥐게끔 되어 있다. ‘손으로 잡아 쥔다’는 뜻을 나타내는 단어가 바로 ‘파악(把握)이다. ‘잡을(쥘) 파(把)’, ‘쥘 악(握)’이라고 훈독한다. 그런데,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루가 있어야 한다. 보호나 구금의 대상이 되는 사람의 몸을 잘 잡아서 놓치지 않고 쥐고 있기 위해서는 역시 자루가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몸에 자루를 붙인 것으로 가상하여 ‘몸 자루’, 즉 ‘身柄’이라는 말을 만들어 낸 것이다. 보호하거나 구금해야 할 대상을 꼭 붙잡아 두고자 하는 의지와 의무를 읽을 수 있는 단어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