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IMF와 55억 달러 구제금융 패키지 합의…한국도 참여

입력 2017-02-20 11: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990년 이후 6번째 구제금융

지난해 글로벌 원자재 가격 약세로 재정난을 겪고 있는 몽골이 국제통화기금(IMF)과 3년 일정, 55억 달러(약 6조3250억 원)의 구제금융 패키지에 합의했다고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구제금융은 몽골이 다음 달 만기가 돌아오는 5억8000만 달러의 국채를 상환하는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IMF가 직접적으로 4억4000만 달러의 기금을 지원한다. 또 IMF는 이날 성명에서 “아시아개발은행(ADB)과 세계은행(WB), 몽골 무역파트너인 한국과 일본 등이 몽골 재정과 인프라 프로젝트 지원 등으로 30억 달러를 추가로 제공한다”며 “몽골 중앙은행은 중국 인민은행과의 별도 협상을 통해 약 22억 달러에 이르는 통화 스와프도 최소 3년간 더 연장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구제금융 패키지는 약 55억 달러에 이르게 됐다”고 설명했다.

몽골은 지난해 원자재 가격 하락과 자국의 구리와 석탄을 대부분 수입하는 중국의 경기둔화 등으로 경제성장률이 1%로 낮아졌다. 또 오유톨고이 구리광산을 놓고 영국 광산업체 리오틴토와 정부가 분쟁을 벌이면서 외국인 투자도 크게 위축된 상황이다.

이번은 몽골이 1990년 이후 IMF로부터 6번째 구제금융을 받는 상황이라고 통신은 전했다. 이전에 몽골은 지난 2009~2010년 IMF의 지원을 받았다.

몽골 의회는 이번 합의에 앞서 IMF의 요구를 받아들이는 방향으로 개발은행법안을 개정했다. 수정안은 은행을 비정치화하고 과거 5년간 정치 분야에 종사했던 인사를 은행 이사진으로 앉히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몽골의 외환보유고는 지난해 12월 기준 13억 달러로, 자원개발 열풍이 한창이던 2012년의 41억 달러에서 급감했다. 몽골 통화인 투그릭 가치는 미국 달러화에 대해 지난해 20% 떨어졌다.

여전히 IMF는 구제금융 프로그램이 제대로 진행된다면 몽골 경제가 살아날 수 있다며 낙관하고 있다. IMF는 “구제금융 프로그램이 끝나는 2019년에 몽골 외환보유고가 38억 달러로 늘어나고 경제성장률은 약 8%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