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행 막아라” 진입금지 경고 시스템 도입

입력 2017-02-13 10: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토부, 위험지역 60곳 자동감지·경보장치 추진… 역주행 사고 치사율 교통사고 2.8배 달해

역주행 사고가 잦은 60곳에 역주행 차량을 자동 감지해 경고음과 LED 진입금지 표지판을 점등하는 장치가 설치된다.

국토교통부는 역주행 사고가 발생했던 국도상 진입부 등의 시설 개선을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역주행은 차량이 반대 차로로 잘못 진입해 발생하는데, 정면 충돌사고로 연결될 수 있어 사고 발생 시 피해는 매우 크다.

최근 5년간 역주행 사고의 치사율은 6.35(명/100건)로 전체 교통사고 2.25 대비 약 2.8배 높다.

또 일반국도가 15.3으로 군도(8.9)나 지방도(7.8), 특별·광역시도(3.4)보다 높다. 이는 일반국도의 통행 속도가 높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2015년 2014~2015년간 역주행 사고가 발생한 59개소 중 사고 위험이 큰 11개소를 선정해 안전표지·노면표시 정비, 자동감지·경보장치를 시범적으로 설치했다.

역주행 차량이 역방향 감지용 센서부를 밟는 순간 즉각적으로 강력한 사운드와 시각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원리다.

이후 역주행 사고 조사결과 과거 3년(교통사고 13건, 사망자수 12명) 대비 사고 건수가 무사고로 감소 시설 개선에 따른 사고예방 효과를 거뒀다.

국토부는 시설 개선에 따른 역주행 사고 예방 효과를 고려해 잔여구간 38개소에 지난해 역주행 사고가 발생한 22개소를 더해 총 60개소의 시설 개선을 올해 내에 마무리할 계획이다.

백현식 국토부 첨단도로안전과장은 “이번 시설 개선을 통해 역주행 사고가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교통사고 사망자수 3000명대 진입을 위해 사고 요인을 자세히 분석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