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필 정치경제부 기자
그러나 자국의 이익과 자국민 보호를 최우선으로 한다는 점에서 두 나라의 통상정책은 맥을 같이한다.
이처럼 G2의 무역전쟁 속 우리나라의 실정은 어떠한가. 일부 특권층의 세습을 위한 정경유착의 난맥상이 드러났다. 과도한 권한을 가진 인사들이 얼마만큼 이 나라를 망칠 수 있는지 매일 놀라고 있다.
당사자들은 잘못을 시인하고 반성하기는커녕 여전히 국민을 계몽해야 할 갱생의 대상으로 보고 거짓과 기만으로 일관하고 있다. 끝없이 나오는 의혹들을 모르쇠로 일관하는 차원을 넘어, 도리어 허위 사실을 제기해 여론을 조작하는 특정 세력을 고소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그동안 국민을 엄벌로 다스리겠다고 강압해 온 배경이 무엇인지 이해가는 대목이다.
이미 벌어진 일은 되돌릴 수 없다. 신속하고 엄중한 사법 처리와 함께 앞으로의 일이 중요하다. 국정 교과서와 위안부 합의, 사드 배치 등 산적한 문제들을 해결하기에 시간이 촉박하다.
정치·외교 분야의 현안과 함께 대두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확대는 갈 길 바쁜 우리를 더욱 재촉하고 있다. 1300조 원을 넘은 가계 빚과 100만 실업자, 10%대에 육박한 청년실업률 등 혁신적인 창조경제로 이룩한 수치들은 탄식을 자아낸다.
차기 지도자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말뿐인 공약이 얼마나 위험한지는 이미 충분히 겪었다.
대내외 불확실의 시기에 여느 나라 리더들처럼 국가와 국민을 최우선으로 삼을 사람, 각 분야의 전문가를 적재적소에 앉힐 사람, 그들과 끊임없이 협의하고 발전시켜 급변하는 상황별 최적의 길로 이끌 사람, 그런 인물을 뽑기 위해 이번 선거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