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시종의 서킷브레이크] 증권사 매도 리포트 강제할 수 있나

입력 2017-01-19 10:31수정 2017-01-19 10:4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본시장부 차장

올해 연초부터 증권가에서는 매도 리포트에 대한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지난 2일 금융감독당국이 직접 나서 천편일률적인 증권사 매수 리포트에 제동을 걸겠다고 밝히면서 애널리스트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국내 증권사들의 리포트는 매수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국내 대형 증권사들의 매수 의견은 많게는 96%에 달했으며, 매도 의견을 내지 않은 증권사들도 여러 곳 있었다. 반면 외국계 증권사들은 많게는 40%까지 매도 리포트를 내 국내 증권사와 극명한 대조를 보였다.

이에 금융당국은 국내 증권사들의 낮은 매도 비율과 매수 일색 리포트라는 고질적인 관행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 ‘국내 증권사 리서치 관행의 실질적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이 개선 방안에는 금융감독원이 업계와 함께 리서치센터의 객관성과 독립성 확보를 위해 리포트의 검수를 강화하는 내부 심의위원회를 설치하도록 했다. 또 연구원이 제시한 목표 주가가 예측대로 맞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목표 주가와 실제 주가 간 괴리율을 공시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볼멘소리가 가득하다. 금융당국이 매도 리포트 비율에 집착하는 것은 현장을 모르는 탁상행정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에도 한 차례 매도 리포트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자 금융협회 차원에서 일정 비율을 맞추라는 의견이 증권사에 전달됐으나, 유야무야됐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전언이다.

이 같은 상황은 매년 외국계 증권사 리포트와 비교되면서 문제로 불거지곤 했다. 매년 문제제기는 되지만, 고쳐지지 않는 근본적 이유는 뭘까?

그것은 우리나라에서는 정보 또는 뉴스 등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공공재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외국의 사례는 정반대다. 정보나 뉴스에 대한 값어치를 인정해 실제로 돈을 낸 고객만이 리포트를 받아 볼 수 있는 구조다. 외국과 같은 구조에서는 얼마든지 매도 리포트를 낼 수 있다. 이렇다 보니 상장기업에서는 누가 자기네 기업에 매도 리포트를 냈는지 쉽게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다르다. 일반인이건 기업이건, 돈을 내건 안 내건 맘만 먹으면 증권사 리포트를 찾아서 볼 수 있는 길이 부지기수다. 때문에 기업들에 안 좋은 이야깃거리가 나오기만 하면 해당 애널리스트는 업계에서 매장당하기 일쑤다.

이런 분위기에서 누가 과연 용기 있게 저 기업의 주식을 팔아야 한다고 외칠 수 있을까? 금융감독당국이 나서 강제성을 띠게 한다고 과연 성과가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증권사 매도 리포트 문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정보는 공공재라는 인식부터 바뀌어야만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이 문제는 아직도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짧은 근대화 과정 중 독재가 깊게 박힌 우리나라에서 정보나 뉴스에 대한 인식이 뿌리 깊게 공공재로 인식돼 있기 때문이다.

자칫 이번 금융감독당국의 규제 방안이 오히려 애널리스트의 독립성을 훼손할 수도 있다. 조금 더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하는 이유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