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합병 특혜' 최지성·장충기 특검 출석… '이재용 지시' 여부 묵묵부답

입력 2017-01-09 10: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지성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장(왼쪽)과 장충기 미래전략실 차장이 9일 오전 서울 대치동 특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이동근 기자 foto@
삼성그룹의 핵심 조직인 미래전략실 임원들이 동시에 특검에 출석했다. 삼성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을 차질 없이 진행하면서 최순실(61) 씨 일가에 특혜를 제공한 의혹을 받고 있다.

최지성(66)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장(부회장)은 이날 오전 9시 51분께 특검 사무실이 위치한 빌딩 주차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최 씨 지원과 관련해서 이재용 부회장의 지시를 받은 적 있는지', '삼성 뇌물이라는 의혹이 제기됐는데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지 않고 빠른 보폭으로 조사실로 향했다.

최 부회장보다 10여 분 먼저 출석한 장충기(63) 미래전략실 차장(사장) 역시 이 부회장의 지시를 받았는지 여부에 대해 답하지 않았다. '삼성이 여전히 피해자라고 생각하나', '잘못이 없으면 한 말씀 해주셔야 하는 것 아닌가', '관련 의혹에 대해 책임감 느끼는게 있나' 등의 질문에도 아무 말이 없었다.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이들을 상대로 최 씨 일가 지원 경위와 대가성이 있었는지 여부 등을 추궁할 계획이다. 특검 관계자는 "참고인으로 소환했고 조사 과정에서 신분이 변동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수사팀이 최 부회장과 장 사장의 혐의를 구성하고 피의자로 신분을 전환한다면 이재용(49)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조사도 조만간 이뤄질 전망이다.

독일로 건너가 최 씨 일가에 대한 지원 방식을 구체적으로 협의한 것으로 알려진 박상진(49) 삼성전자 대외협력담당 사장은 이날 조사 대상에서 빠졌다. 특검은 앞서 임대기(61) 제일기획 사장과 김재열(49) 제일기획 스포츠총괄 사장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특검이 삼성 관계자들을 입건할 경우 이번 수사는 중요한 전환점을 맞게 된다. 자난해 10월부터 이어진 검찰과 특검 수사 과정에서 기업 관계자들은 직권남용 범죄의 피해자였다. 최 부회장 등이 입건될 경우 특검과 삼성, 최 씨는 물론 박근혜 대통령도 뇌물 수수 혐의 법리를 놓고 공방을 벌이는 구도로 바뀐다.

삼성은 미르·K스포츠 재단에 출연금을 낸 다른 기업들과는 달리 최 씨 모녀가 독일에 세운 '코레스포츠'에 거액을 지원했다. 또 최 씨의 조카 장시호(38) 씨가 실질적으로 설립·운영한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에도 16억 2800만 원을 후원했다. 특검이 확보한 안종범(58) 전 청와대 수석의 수첩에는 이 부회장이 지난해 7월 25일 박 대통령을 독대한 뒤 최 씨 측을 후원하도록 요청한 정황이 기록된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