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전 재가동 한 달 만에 지진 3회 발생… 주민들 “정밀조사 해라”

입력 2017-01-06 17:48수정 2017-01-09 13: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6일 새벽 경북 경주에서 규모 3.3 지진이 발생해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12월 12일, 14일의 규모 3.3 지진에 이어 월성원전 재가동 한 달 만에 또다시 규모 3.3 지진이 발생한 것이다. 여진은 20회 늘어서 562회를 기록했다.

탈핵경주시민공동행동은 이날 성명을 내고 “더 이상 큰 여진은 없을 것처럼 홍보하며 월성원전 재가동을 승인했으나, 최근 들어 여진 횟수가 더욱 증가하고 있고 건물 전체를 뒤흔드는 규모 3.3의 지진이 세 차례나 발생했다”며 “정부는 월성원전 가동을 전면 중단하고 9월 12일 지진 발생 때 약속했던 월성원전 인근 지역 단층 정밀조사에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월성원전의 가동 여부는 정밀조사 이후에 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앞서 지난해 12월 5일 정부와 한수원은 규모 3.3의 지진에 월성원전은 안전하다며 1호기부터 4호기까지의 재가동을 승인했다.

이에 대해 정치권은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재가동 승인 과정에서 독립성을 갖춘 전문가들이 안전 점검을 해야 한다는 주민들의 요구를 묵살하고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의 자체 점검과 원자력안전기술원의 확인만 가지고 원전 안전성을 인정했다고 지적했다.

민주당도 “규모 3.3의 지진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원안위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며 월성원전의 재가동 중단과 정밀안전 진단 실시를 요구했다.

4일 서울행정법원에서 월성1호기 수명연장 무효소송 10차 변론이 있었고 오는 2월 7일 선고를 앞두고 있다. 이날 캐나다원자력공사(AECL)에서 수십 년간 CANDU6원자로(월성원전 모델) 업무를 담당했던 전문가가 10차 변론 증인으로 출석했다.

이 전문가는 월성1호기의 수명연장 심사에 대해서 “캐나다에서 심사했다면 월성1호기는 폐쇄됐다. 월성1호기 심사는 규제 요건을 지키지 못했고 수명 연장에 맞는 설비 개선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증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