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보 마이 라이프> 창간 2주년 … ‘액티브 시니어 라이프스타일’ 설문 #5
5070 시니어 매거진 <브라보 마이 라이프>는 최근 우리 사회의 중심축을 담당하며 주목받고 있는 ‘액티브 시니어’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정의하고, 액티브 시니어의 생활양식이나 사고방식 등을 알아보기 위해 대대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여론조사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50대와 60대 32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이 중 본인 소득이 있고, 자신을 ‘능력 있는 사람’이라고 평가한 응답자를 ‘액티브 시니어’로 정의했다.
현 시대를 살아가는 액티브 시니어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본지의 ‘대한민국 액티브 시니어 라이프스타일’ 설문조사결과를 10년 전과 비교해보면 어떨까? 통계학에서 한 집단의 변화를 시차를 두고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를 갖는다. 좀 더 정확한 비교를 위해 19세 이상 성인 평균의 결과 비교도 함께 진행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지금의 액티브 시니어는 과거보다 능동적이며 주도적인 삶을 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마디로 표현해, 나이에 비해 ‘젊어졌다’고 말할 수 있다. 흔히 표현되는 ‘뒷방 늙은이’ 같은 삶은 거부하고 있는 것. 또 폭넓은 사회활동을 유추해볼 수 있는 결과도 보이고, 적극적인 소비활동도 두드러진 변화 중 하나다. 전체 9가지 조사항목 중 가장 극적인 변화를 나타낸 것은 ‘패션 관련 기사나 잡지를 보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 이 항목에 2006년에는 13.1%에 불과했던 액티브 시니어의 응답이 2016년에는 26.2%로 정확히 두 배 높아졌다. 반면 전체 성인 평균은 20.5%에서 19.8%로 감소했다. 이와 유사한 ‘화장품이나 개인적인 물품을 사기 위해 돈을 많이 쓰는 편이다’라는 항목에도 액티브 시니어는 12.3%에서 26.4%로 두 배 이상 증가한 응답률을 기록했지만, 전체 성인 평균은 14.6%에서 19.7%로 소폭 상승했다.
인터넷을 통해 친구를 사귄다는 응답은 의외의 결과가 나왔다. 10.1%에 불과했던 2006년 액티브 시니어의 응답은 2016년 28.3%까지 치솟았는데, 이는 같은 해 성인 전체 평균(27.9%)보다도 높은 수치다. 이 결과들에 비춰보면 액티브 시니어들은 활발한 사회활동을 위해 본인을 꾸미는 데 적극적이라고 짐작해볼 수 있고, 이런 태도들이 교우관계 확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유행에 대한 수용 태도 역시 달라졌다. 2006년에는 12.8%만 유행을 빨리 받아들인다고 답했던 액티브 시니어들이 2016년에는 28.8%의 응답률을 보였다. 반면에 전체 성인 평균은 16.6%에서 22.6%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새로운 광고를 잘 기억하는가?’라는 질문에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2006년에는 전체 성인 평균(23.8%)에 비해 액티브 시니어의 응답이 더 낮았지만(19.8%), 2016년에는 액티브 시니어가 30.8%의 응답률을 보여 성인 전체 평균(28.4%)에 비해 높았다. 남의 평가에 대한 고민은 전체적으로 증가했다. 액티브 시니어는 16.8%에서 49.4%로 증가했고, 전체 성인 평균은 20.8%에서 42.5%로 늘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10년 전에 비해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의식한다는 의미다. 여가생활에 많은 돈을 쓴다는 응답이나 비싸더라도 분위기 있는 음식점을 선호한다는 응답 역시 10년간 대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 성인 전체 평균과의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이는 액티브 시니어의 의식에 많은 변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세대간, 계층간 소득과 소비의 차이가 커진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되기도 한다.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실버산업전공 김숙응 교수는 조사결과 확인할 수 있었던 액티브 시니어의 10년간 변화를 이렇게 분석했다.
“외모 지향적이거나 패션 등 유행에 민감한 것은 시니어들이 독립된 소비주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인터넷을 통해 친구를 사귀거나 남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신경을 쓰고, 제품 구매 시 조언을 참고하는 것은 교육수준 향상을 바탕으로 자주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또 타인에 대해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가치관을 갖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고요. 여가생활에 많은 돈을 쓰고 광고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가처분소득의 증가에 따른 적극적인 소비태도로 보입니다. 한국 경제의 고도성장에 따른 경제생활, 생활수준 향상에 의해 개인의 의식과 행동양식이 급변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