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폐지 위험 벗어난 대우조선해양, 정상화까진 첩첩산중

입력 2016-12-15 10: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조8000억 투입 자본잠식 해소… 현금유동성 확보 등 숙제

1조7000억 원 유상증자로 급한 불(완전자본잠식)을 끈 대우조선해양이 독자생존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하지만, 해갈되지 않는 재무리스크로 인해 신규 수주를 통한 경영 정상화까지는 갈 길이 멀다.

대우조선은 이달 20일 수출입은행의 1조 원 규모의 영구채 매입 관련 안건을 의결할 예정이다. 사흘 전 산업은행의 출자전환분(1조7858억 원)을 합치면 총 2조8000억 원의 자본이 투입되는 셈이다.

이로써 대우조선의 부채비율은 기존 7000%에서 900%까지 낮아지게 됐다. 완전자본잠식에서 탈피하면서 상장폐지 위험에서 벗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관계자들은 내년 3월 말 한국거래소에 기업심사를 신청할 경우, 한 달 뒤인 내년 4월에는 거래가 재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최악의 고비는 넘겼지만, 정상화까지는 아직 첩첩산중이다. 허리띠를 바짝 졸라맨 상황에서 바닥난 ‘곳간’을 채우려면 신규 수주가 절실하지만, 해갈되지 않는 재무 리스크가 걸림돌이다. 최근 유가 상승으로 온기가 돌고 있는 해양플랜트의 경우 건조 기간이 4~5년으로, 상선이나 특수선보다 길기 때문에 발주처는 계약을 할 때 조선사의 재무 안정성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여긴다.

현금 흐름 역시 ‘빨간불’이 꺼지지 않고 있다. 대우조선이 상환해야 할 회사채는 3분기 말 기준 1조5000억 원이다. 이 가운데 △4월 4440억 원 △7월 3000억 원 △11월 2000억 원 등, 내년에 만기가 돌아오는 것만 총 9440억 원이다. 현금성 자산 6810억 원으로는 부족한 셈이다.

조선업계 한 관계자는 “대우조선은 그동안 대규모 자산을 매각했기 때문에 신규 수주의 물꼬를 트지 않는 한 재무 안정성을 꾀하기 힘들 것”이라며 “내년에도 수주 가뭄이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어 내년에도 힘든 한 해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