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에 대해 말하자는데, 내일이 걱정스런 전경련… 15일 회의 개최 불투명

입력 2016-12-14 10:36수정 2016-12-15 14: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전경련회관의 전경.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주요 그룹 회원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려 했던 ‘쇄신안 마련을 위한 간담회’ 개최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회원사 대부분이 불참을 통보한 데 따른 것이다.

회원사의 상당수는 ‘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존폐 기로에 놓인 전경련의 쇄신안 마련을 위한 회의에 참석하는 것이 부담스럽다는 입장을 보였다. 일부 회원사는 탄핵 정국의 혼란한 사회 분위기에서 “전경련이 제 살 길만 찾는 것이 아니냐”며 반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전경련은 주요 그룹 회원사들에 쇄신안에 대한 의견을 듣기 위한 모임을 15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기로 결정하고, 최근 회원사 일정 조율에 나섰다. 참석 대상은 대외 협력을 담당하는 사장급 실무자들이다.

그러나 회의를 하루 앞둔 14일 현재 일정 조율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부분 회원사들이 참석을 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혀왔기 때문이다.

불참 의사를 밝힌 한 그룹 관계자는 “시기가 시기이니만큼, 전경련 쇄신안 마련을 위한 회의에 참석하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했다”면서 “회사 내부적으로도 특검 수사가 남아 있는 상황에서 다른 부분을 신경쓰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또 다른 그룹 관계자 역시 “(전경련의) 다급한 마음도 알겠지만 전경련이 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되면서 이번 사태와 전혀 상관없는 회원사들의 이미지까지 실추시킨 부분이 있다”며 “이제 와서 쇄신안을 마련하겠다고 하면 어느 누가 좋아하겠냐”고 반문했다.

전경련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는 관계자도 있었다. 한 관계자는 “내년 경영계획도 수립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인데, 재계를 대변하는 전경련은 제 살 길만 찾겠다는 것이 아니냐”며 “쇄신안 마련도 필요하겠지만, 기업들의 상황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전경련은 회의는 예정대로 개최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회원사들의 참여율이 저조할 경우 회의가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전경련은 회의가 무산되더라도 내년 2월 정기총회 때까지 향후 진로에 대한 최종 결론을 도출한다는 방침인 만큼, 회원사 의견수렴 작업은 계속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전경련의 쇄신안 마련과 상관없이 특검수사 결과가 존폐에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최근 정부가 전경련 설립허가 취소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일각에서는 전경련의 강제 해체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산업부는 전경련의 설립 허가를 취소할 수 있다. 민법 제38조(법인의 설립 허가의 취소)에 ‘법인이 목적 이외의 사업을 하거나 설립 허가의 조건에 위반하거나 기타 공익을 해하는 행위를 한 때에는 주무관청(산업부)은 그 허가를 취소할 수 있다’고 돼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산업통상자원부 측은 “현재는 모니터링 수준”이라며 “수사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현재까지 정부가 설립허가 취소를 위한 법률적 검토를 한 바 없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