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생체인증시대, 당국-은행 ‘온도차’ 줄여야

입력 2016-12-07 11: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수천 기업금융부 기자

금융당국과 은행권이 생체 인증 활용 방안에 대해 엇박자를 내고 있다.

금융당국은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인증 시스템으로 생체 정보 인증 확대를 적극 추진해 왔다.

최근엔 고객 지문·정맥·홍채 등 바이오 정보를 두 곳으로 분할, 거래 금융사와 금융결제원 분산관리센터에 별도 보관하도록 하는 ‘바이오(생체)정보 분산관리 표준’을 제정했다.

분산관리센터는 올 연말 시범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내년부터 생체 인증을 통한 금융 거래가 활성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은행권의 시각은 다르다. 가장 큰 문제는 돈이다.

은행에서 생체 인증을 활용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다. 스마트폰 등 고객 개인 단말기를 통해 생체 정보 인증을 바탕으로 모바일뱅킹을 제공하는 온라인 방식과 자동화기기(ATM), 은행 창구 등에서 생체 인증을 받아 업무에 활용하는 오프라인 방식이다.

온라인 방식은 생체 인증 정보를 바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은행권에서는 오프라인 방식이 실질적인 생체 정보를 인증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보고 있다.

은행 관계자들은 생체 인증 단말기를 구입하고, ATM이나 창구에 설치·관리하기 위해 투자하는 금액이 상당하다고 전했다.

생체 인증을 도입하는 것이 수익을 얻기 위해서가 아니라 고객 편의와 인력 절감 등 부수적인 효과를 노리는 것이기 때문에 투자 비용에 큰 부담을 느끼는 것이다.

장기간 투자가 필요한 만큼 정책 변화에 대한 불안감도 있다. 보안 취약성에 대한 위험이 여전하고, 처음 생체 정보를 등록할 때 본인 확인 방법 마련 등 산적한 문제 역시 해결해야 한다.

대표적인 금융혁신 과제 중 하나인 생체 인증 시스템이 금융시장에 안전하게 연착륙하기 위해서는 금융당국과 은행권의 ‘온도차’를 줄이는 게 급선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