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일자리 48만6000개 증가… 중소기업 57% 차지

입력 2016-12-07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공공부문 신규일자리 5만7000개로 1.5% 미미

(통계청)
지난해 일자리가 48만6000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41만5000명)과 비교하면 크게 늘어난 수치다. 신규 일자리는 대부분 중소기업인 50인 미만에서 절반 이상을 제공했다.

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일자리행정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일자리는 총 2319만5000개로 작년 2270만9000개와 비교해 48만6000개 늘었다.

이중 지속일자리는 1562만2000개로 67.4%를 차지했고 퇴직·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79만개로 16.3%, 기업체 생성 또는 사업확장으로 생긴 신규일자리는 378만3000개로 16.3%를 차지했다.

작년에 기업체 소멸 또는 사업축소로 사라진 소멸일자리는 329만7000개였다. 이에 따라 작년 신규일자리는 48만6000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4년 41만5000개에 비해 17% 정도 증가한 것이다.

기업형태로 보면 회사법인이 47.9%의 일자리를 제공했고 개입기업체 32.3%, 회사이외법인 9.1%, 정부 8.2%, 비법인단체 2.5% 순이었다.

신규일자리도 회사법인이 30만5000개 증가해 가장 많았고 회사이외법인 6만9000개, 개인기업체 5만7000개 순으로 증가했다.

종사자규모로 보면 50인 미만 기업체에서 절반 이상인 1173만9000개를 제공해 50.6%를 차지했다. 300인 이상은 32.7%, 50~300인 미만은 16.7%의 일자리를 제공했다. 1000인 이상은 24.6%였다.

신규일자리도 50인 미만에서 27만4000명이 증가해 가장 많았고 300인 이상에서 12만2000명, 50~300인 미만에서 8만9000명이 늘었다.

공공부문 일자리는 9.7%에 불과했고 신규일자리도 5만7000개(1.5%)로 미미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21.6%로 가장 많고 도매 및 소매업이 12.9%, 건설업 8.4%,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7.7%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규일자리는 건설업이 26.9%로 가장 많았다. 은희훈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건설업에서 신규일자리가 가장 많았지만 일자리 '질'이 좋고 나쁨을 판단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성별로 보면 남자가 59.1%로 비중은 컸지만 여자 일자리가 2.7% 증가해 남자 일자리 증가율(1.8%)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27.0%로 가장 많았고 30대, 50대, 20대, 60대 이상 순이었다. 신규일자리는 19세 이하, 30대를 빼고는 늘었다. 통계청은 30대의 경우 인구감소가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근속기간은 1~3년 미만이 28.2%로 가장 많았는데 대부분 20~30대가 이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근로일자리는 82.6%, 비임금근로일자리는 17.4%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