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롯데 겨눈 사드보복…기업은 ‘한숨만’

입력 2016-12-02 10: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부지제공 이유 전방위 조사 분석…화장품·조제분유 등 규제도 강화

중국에 진출한 롯데그룹에 대해 중국 정부가 전방위 조사에 나서면서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이 현실화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롯데에 대한 조사가 사드 부지 제공에 따른 보복 성격으로 추정되고 있어서다.

2일 상하이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지난달 29일부터 중국에 진출한 롯데 계열사의 전 사업장에 세무조사와 소방·위생점검, 안전점검 등 조치에 나서고 있다.

조사 대상은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청두(成都) 등지의 중국 내 150여 개 롯데 점포다. 아울러 롯데케미칼, 롯데제과 등 중국 공장에도 중국 측 점검단이 나와 고강도 조사를 벌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가운데 선양(瀋陽), 청두의 롯데캐슬 모델하우스에 대해서는 폐쇄까지 요구하는 등 중국 당국의 동시다발적 전방위 조사는 롯데그룹이 중국에 진출한 이후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사드 관련 후폭풍이 국내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은 ‘전기차 배터리 업계 규범 개정안’에서 배터리 업체 인증을 위한 생산능력 기준을 40배 이상 높였는데, 기준을 충족하는 회사는 1위 업체인 비야디(BYD) 정도다. 중국 현지 공장을 가동 중인 LG화학과 삼성SDI는 지난 6월 제4차 배터리 모범기준 인증 탈락 이후 진척도 없다.

화장품 품질관리 규정도 이달부터 중금속 함유량을 대폭 강화하는 등 까다롭게 바뀌어 한국 업체들은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다. 또 지난달부터 조제분유 규제를 대폭 강화함에 따라 업체당 평균 7~8개의 수출 브랜드를 가진 한국 업체들은 3개 이상의 브랜드를 유통하기 어렵게 됐다.

반덤핑 규제도 강화하는 추세다. 2014년 이후 중국은 한국산 제품에 대해 한 해에 보통 2~3건의 반덤핑 관세를 물렸다. 하지만 7월 사드 배치가 결정된 후 9월 한국산 설탕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 조사를 시작했고 10월에는 화학제품인 폴리아세탈(POM)의 반덤핑 조사도 개시했다. 지난달 22일에는 한국산 태양광 재료인 폴리실리콘에 대해 반덤핑 관세율 재조사를 벌이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