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포스코ㆍLG화학 등과 '탄소자원화' MOU

입력 2016-11-02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여개 기업, 4개 지자체 대상…버려지는 탄소로 화학제품 생산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가 탄소를 자원으로 활용하는 '탄소자원화 국가전략 프로젝트'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포스코와 LG화학 등 20여 기업, 전남도와 여수시 등 4개 지자체와 MOU를 맺는다고 2일 밝혔다.

미래부는 이날 포스코를 포함한 20여 기업, 4개 지자체와 '탄소자원화 국가전략 프로젝트'와 관련 업무협약을 3일 체결한다고 밝혔다.

'탄소자원화 국가전략 프로젝트'는 신(新)기후체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이다. 온실가스 속 '탄소원'을 활용해 유용한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전략이다. 미래부와 기업, 지자체의 이번 업무협약은 4일부터 발효되는 '파리기후협정'에 따라 △정부 △기업 △지자체가 혁신적 온실가스 감축 수단개발에 힘을 모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미래부는 이번 정책을 위해 내년부터 정부지원 340억 원을 포함, 2022년까지 6년 동안 총 475억 원(탄소전환 273억 원ㆍ탄소광물화 202억 원)을 투입한다. 올해 국회 예산이 확정되면 내년 초 사업단을 구성해 본격적인 프로젝트에 착수한다.

미래부는 이번 MOU를 시작으로 탄소자원화 국가전략프로젝트의 추진 및 관련 정책을 제도적으로 지원한다.

포스코를 비롯해 LG화학, 롯데케미칼 등 20여 기업은 탄소자원화를 위한 포괄적 업무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국가전략 프로젝트 사업추진에 적극 협조한다는 계획이다.

전라남도와 광양시, 순천시, 여수시 등 4개 지자체는 프로젝트 추진에 따른 인허가 등 행정적 지원에 나선다. 특히 광양시는 탄소배출 기업을, 여수시는 탄소수요 기업을, 순천시는 탄소자원화 성과 확산을 지원하게 된다.

미래부 관계자는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온실가스 감축과 지역경제 활성화, 나아가 신 기후산업 창출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