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차은택 거래 은행 5곳 압수수색… 판도라 상자 열리나

입력 2016-11-01 09:24수정 2016-11-01 13: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신한·KB국민·우리·농협·SC제일은행’ 금융거래내역 등 가져가

‘최순실 게이트’의 쓰나미가 금융권으로 몰려오고 있다.

1일 금융권,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은 전날 신한은행, KB국민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SC제일은행 등 5곳의 시중은행을 압수수색했다. 비선 실세로 국정 농단 의혹을 받는 최순실 씨 등에 대한 금융거래 내용을 확보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특히 검찰이 최 씨뿐 아니라 또 다른 ‘비선실세’인 광고감독 차은택 씨에 대한 금융거래 내역도 요청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수사는 전 은행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최 씨 일가는 물론 측근, 지인들까지 이번 의혹 사건과 연루된 모든 사람의 자금 추적이 불가피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현재 시중은행들은 최 씨와 관련된 여러 의혹을 받고 있다.

신한은행의 경우 전 지점장 출신 인사가 미르ㆍK스포츠재단에 개입된 정황을 검찰이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은행은 최 씨가 자신이 소유한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건물과 강원도 평창군 임야 등을 담보로 5억 원 상당을 빌려 간 은행이다.

하나은행은 정유라 씨에 대한 특혜대출 의혹을 받고 있다. 최 씨는 지난해 12월 8일 하나은행 압구정중앙지점에서 딸인 정 씨와 공동명의인 강원도 평창에 있는 10개 필지를 담보로 약 24만 유로(3억 원)를 대출받았다. 아울러 최 씨의 독일 법인 설립을 도와줬다는 의혹을 사고 있는 현지 본부장이 귀국 후 한 달여 만에 임원으로 승진한 것을 두고 최씨가 은행 인사에도 영향력을 발휘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하나은행 측은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검찰은 다만 최 씨의 딸 정유라 씨에 대한 특혜대출 의혹을 받는 KEB하나은행에 대한 압수수색은 진행하지 않았다. 이는 하나은행이 지난달 말부터 금융감독원의 종합검사를 받고 있는 점을 고려한 조치로 해석된다.

일부 은행의 경우에는 영장 없이 들이닥쳐 자료를 가져가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