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TV 업계 “이동전화 다회선 상품 출시ㆍ지역기반 서비스”… 위기탈출 프로젝트 가동

입력 2016-10-05 13: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원케이블 전략 공개

케이블TV 업계가 위기극복을 위해 이동전화 다회선 상품을 출시하고, 지역기반 서비스 확대 등을 골자로 하는 위기탈출 프로젝트를 가동한다.

케이블TV 비상대책위원회는(비대위) 5일 오전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소비자 편익증대와 방송산업 선순환 구조를 확립해 새롭고 강력한 매체로 발돋움 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위기의 케이블 업계를 살리기 위한 '원케이블 전략’을 공개했다.

원케이블은 전국78개 권역에 쪼개져있는 SO(케이블TV방송국)가 전국단위 사업자인 IPTV에 비해 규모의 경제를 이루기 어려운 태생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서비스 및 기술을 통합 또는 협업하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지역채널 통합 등 지역 기반 서비스를 강화 △2018년 2월까지 디지털 전환을 완료 △스마트홈 등 차세대 시스템 개발 등에 대한 투자를 늘리기로 했다.

케이블 업계는 방송·통신융합 환경의 공정경쟁을 조성하고 케이블TV 요금을 정상화하기 위해 모바일 결합금지, 유선상품 재판매 금지, 이동전화 추가회선에 대한 유무선 결합금지 등을 원칙으로 세웠다. 특히 현금 지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줄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

다만, 정부가 이용자 후생 등을 위해 모바일 결합판매 제도를 이미 허용한 상황에서 ‘동등할인·동등결합’의 추진과 이동전화 다회선 할인 상품을 신설해 달라고 요청했다.

비대위는 평창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오는 2018년 2월 평창·강릉 등지부터 아날로그방송을 종료하고 디지털방송으로 완전 전환해 초고화질(UHD) 콘텐츠 등 서비스를 강화하기로 했다.

방송이 종료되는 아날로그 채널의 주파수는 각 SO가 차세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프라로 활용한다.

또 내년 초 지역채널 통합 브랜드를 론칭해 케이블 지역채널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 한편 지역정보를 강화하고 ‘스마트 홈 케어’ 서비스와 결합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사 등으로 가입을 해지한 뒤 다른 권역에서 케이블TV에 새로 가입할 경우 기존에 구매한 다시보기(VOD)를 연결해 볼 수 있도록 하는 등 기존 가입자들의 불이익도 올해 말까지 해소할 계획이다.

UHD 방송을 조기에 활성화하고 미디어커머스 등의 차세대 서비스를 개발해 기존망보다 전송량이 8배 이상 많은 부가통신 서비스도 제공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