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6/10/600/20161004064217_948315_550_321.jpg)
4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한 ‘500대 기업 일·가정양립 제도’(191개사 응답)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가정양립과 관련해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 중인 것은 ‘정시퇴근 문화 조성’(72.8%), ‘시차출퇴근제 실시’(13.1%), ‘단축근무제 실시’(9.9%), ‘자동육아휴직제 실시’(9.9%) 등의 순이었다.
올해 현재 여성인재활용제도를 운용 중인 기업은 83.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여성인재를 육성하는 교육·프로그램 운영’(30.9%), ‘여성위원회 등 협의기구 설치’(23.0%), ‘경력단절여성 고용’(18.8%), ‘신규채용 일부를 여성에게 할당’(16.8%) 등을 실시하고 있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6/10/600/20161004064217_948316_550_224.jpg)
출산·육아지원제도를 실시하는 데 있어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대체인력 부족 등으로 다른 직원들의 업무부담 증가’(85.9%), ‘성과평가·인사관리의 어려움’(3.7%), ‘휴직자와 근무자의 근속기간이 동일하게 오르는 등의 역차별 발생’(3.7%), ‘휴가·휴직급여, 재교육 비용 등 인건비 상승’(3.1%) 등이 꼽혔다.
현재 유연근무제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41.4%였으며, 이들 기업이 도입한 유연근무제의 종류는 ‘시차출퇴근제’(25.1%), ‘단축근무제’(14.7%), ‘탄력적 근로시간제’(11.0%), ‘재택근무제’(4.0%) 등의 순이었다.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기업들은 도입 효과로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향상’ (50.6%), ‘생산성 향상’(17.7%), ‘경력단절 등의 인력손실 방지’(16.5%), ‘이직률 감소’(8.9%) 등을 꼽았다. 도입하지 않은 기업들은 이유로 ‘근무시간 차이로 내외부와의 소통 불편’(53.6%), ‘직원근태 등 인사관리의 어려움’(28.6%), ‘업무·조직의 특성상 도입 어려움’(7.1%), ‘시스템 설치비 등의 비용부담’(1.8%) 등을 지적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6/10/600/20161004064217_948317_550_282.jpg)
일·가정양립 제도 중 남성육아휴직 관련해서는 ‘직장 내 눈치 주는 문화 개선’(59.7%), ‘남성 육아휴직자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17.3%), ‘남성 육아의 긍정적 효과 홍보’(14.1%), ‘전체 육아휴직기간을 남녀가 나눠쓰도록 제도 정비’(6.3%)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경련 송원근 경제본부장은 “대기업들이 유연근무제 등 일·가정양립제도를 도입하고 있지만, 다른 근로자의 업무부담 증가, 소통 불편, 인사관리의 어려움 등의 문제로 도입하지 못하는 기업도 있다” 면서 “이러한 문제를 잘 해결해 노동생산성이 오르고 경쟁력이 강화된 기업들이 많이 나와야 일·가정양립제도가 더 빨리 확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