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으니까 건강” 옛말… 20~30대 3명 중 1명, 심뇌혈관질환 의심

입력 2016-10-03 15: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30대 3명 중 1명은 심뇌혈관질환이 의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전혜숙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입수한 건강검진 수검자 유병률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삼십대 건강검진 수검자 370만3876명 중 34.9%(129만3562명)가 1차 검진에서 심뇌혈관 질환이 의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차 검진에서는 이삼십대의 고혈압 유병률은 52.7%로 2명 중 1명꼴로 의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당뇨병 질환은 43.7%가 의심환자로 나타났다. 특히 이삼십대 고혈압유병률(52.7%)이 전체 51.4%보다 0.7%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2014년 이전까지에 비해 처음으로 역전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20~30대에게 심뇌혈관질환 대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건강검진 제도는 1988년 직장피부양자를 대상으로 성인병 검진사업으로 도입하면서 성인병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40세를 시작연령으로 했고, 세대원도 같은 연령기준을 적용했다. 이후 지역가입자로 확대되고 영유아 건강검진, 취학기 건강검진, 40세와 66세가 되는 해의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등 다양한 근거법령을 근거로 확대됐다.

그러나 건강보험공단은 그동안 ‘국가건강검진은 목표질환을 고혈압과 당뇨병 등 심뇌혈관질환을 목표로 하고 있어, 19~39세 연령은 비용효과성이 낮다’고 판단해 왔다. 그 결과 직장에 다니지 않거나 세대주가 아닌 19세 이상 39세 이하에 해당하는 사람은, 건강검진 대상자가 될 수 없게 돼 있다.

전 의원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20~30대 내국인수가 약 1381만 명이고 건강검진 수검자 추정치가 약 487만 명인 점을 고려하면, 약 894만 명이 국가 건강검진 대상자에서 제외된다고 보았다. 여기에는 주로 대학생, 취업준비자, 전업주부, 자영업자 등이 해당한다는 것이다.

전 의원은 “젊으니까 건강하다는 말은 옛말이 되었다. 삼포·오포세대를 넘어, 꿈과 희망을 잃은 7포세대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청년고통이 심각하다”며 “청년들이 ‘건강’마저 잃지 않도록 나라가 앞서서 건강검진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등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