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장관 “자동차 파업, 수출 회복세에 찬물”

입력 2016-07-25 17: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만6000대 자동차 생산ㆍ1만대의 수출 차질 예상”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자동차 업계의 파업의 여파로 7월 수출도 부진세를 면치 못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주형환 장관은 25일 세종정부 청사 인근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달 5일간 36시간 진행된 파업으로 1만 6000대의 자동차 생산 차질과 1만대의 수출 차질이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주 장관은 “금액으로는 1억5000만 달러 손실에 그쳤지만 상징적인 효과가 있다”며 “자동차 산업이 전기자동차 등 새로운 환경변화를 맞고 글로벌 자동차 생산 기지 간에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파업으로 생산 차질이 발생해 안타깝다”고 말했다.

주 장관은 7월 수출과 관련해 “조업일수 감소, 조선업의 선박 인도 부진, 브렉시트(영국의 EU탈퇴) 결정 등이 부진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특히 수출 낙폭이 한자릿수로 줄면서 반전의 기회가 있는 상황이지만 자동차 업계 파업이 회복세 흐름에 찬물을 끼얹는 것 아닌가 한다”고 우려했다.

다만 그는 “8월 이후에 수출이 회복되도록 노력하고 있어 더 나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 장관은 구조 조정에 돌입한 조선업계의 파업에 대해서도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그는 “조선업 파업에 따른 생산 차질로 수출에 문제가 생기면 노사와 협력업체는 물론 지역 경제와 국민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며 “일부 대기업 노사가 파업에 대해 신중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주 장관은 정부의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ㆍTHAAD) 배치와 관련해서는 “국민의 안전과 국가의 안위를 지키려고 추진하는 것으로 북한 이외에 제3국의 이익을 해칠 이유가 없다” 며 “한중 관계가 워낙 중요한 만큼 정부는 계속 진전 상황을 주시해 중국과의 양자·다자채널을 통해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중국이 한국산 고부가가치 철강재인 전기강판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 것에 대해 주 장관은 “중국 철강 시장의 변동성이 크고 현지 철강업체가 어려움을 빠진 점이 이번 관세 부과 조치에 반영된 것 같다”며 “다만 중국은 유럽연합, 일본에도 관세를 부과했는데 이들 국가와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양호한 관세율을 받았다”고 강조했다.

최근 고조되고 있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흐름과 관련해서는 “미국 대선 과정에서 자유무역협정(FTA) 때문에 미국인의 일자리가 없어질 것이란 논란이 쟁점으로 떠올랐다”며 “우리도 FTA에 반대하는 사람이 있듯 미국 대선 과정에서 한ㆍ미 FTA를 반대하는 정서가 반영될 수 있으나 실상 미국 정부는 계속 교역 관계를 늘리려 하고 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