괌 사드 포대 첫 공개…국방부 '인체 무해' 주장 근거는 레이더 아래 안전구역

입력 2016-07-18 09: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처=연합뉴스TV )

태평양 괌 기지에 배치된 사드 포대가 18일 한국의 국방부 관계자들과 취재진에 공개된다. 국방부는 사드 레이더의 방사 각도를 앞세워, 이 레이더 범주 아래에 자리한 민간시설과 인체에는 해가 없다고 주장했다.

한미 군 당국은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의 배치지역 선정 작업을 하면서 X-밴드 레이더(AN/TPY-2)의 전자파 인체 유해성과 발전기 소음, 환경피해 등의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괌의 미군 사드 포대 공개를 협의해왔다.

미군 측이 사드 기지를 타국 민간인에게 개방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에서 후보지로 거론된 지역마다 반대 여론이 거세지자 한국 측의 공개 요구를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괌 사드 포대 운용 실태 △레이더 전자파 인체 위해성 여부 △발전기 소음 △환경피해 등 사드 배치 이후 불거진 논란을 객관적으로 확인하며 무해성을 강조할 계획이다.

미 육군은 2013년 4월 북한의 무수단(화성-10) 중거리미사일의 공격 위협이 대두하자 괌의 앤더슨 공군기지 북서쪽 정글 지역인 '사이트 아마딜로' 평지에 사드 1개 포대를 배치했다. 미 본토 이외 지역에 사드를 배치한 것은 괌이 처음이었다.

국당국이 사드 레이더의 무해성을 강조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가 레이더 방사 각도다. 발생 지점에서 상공을 향해 방사형태로 뻗어나가기 때문에 기지에 근접한 민가에도 피해가 없다고 주장한다.

사드 레이더는 지상에서 사방 약 5도 각도 위로 뻗어나간다. 때문에 이 레이더 권역 아래에 자리한 민간시설에 대한 피해는 없다고 주장한 바 있다.

반면 이번 괌 사드 포대 공개는 국내와 사정이 다르다는 해석도 나온다. 괌 사드기지는 주변 3㎞ 이내에 민가가 없고 레이더 빔도 바다를 향해 쏘는 형태다. 이는 레이더와 1.5㎞ 거리에 성주읍이 자리한 우리나라와 입지조건에서 차이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