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6월 고용증가 8개월내 최대…브렉시트로 인한 경기냉각 우려 진정될 듯

입력 2016-07-09 04:3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6월중 미국의 비농업부문 고용자 수가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가 다소 누그러질 전망이다.

미국 노동부가 8일(현지시간) 발표한 고용 통계에 따르면 6월 비농업 부문 고용자 수(사업소 조사, 계절 조정)는 전월 대비 28만7000명 증가했다. 이 같은 증가폭은 2015년 10월 이후 최대이며, 금융시장 전문가들의 예상치인 18만 명을 크게 넘선 것이다. 특히 지난 5월의 고용 증가폭이 3만8000명으로 급락하면서 야기됐던 ‘고용쇼크’와 브렉시트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를 어느 정도 불식시킬 수 있는 지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지난 5월의 비농업 신규고용 증가는 이 날 1만1000명으로 수정 발표됐다. 지난 5월 미국 통신업체인 버라이존 커뮤니케이션스의 종업원 3만5000여 명이 파업에 참여한 것이 5월의 고용 감소와 6월의 고용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6월중 시간당 평균 근로소득은 25.61달러로 지난 5월보다 0.02달러(0.08%), 지난해 6월보다 2.6% 각각 증가했다. 이 같은 증가률은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물가상승률 목표치인 2%에 도달할 수 있는 전년대비 근로소득 증가율인 3∼3.5%에는 다소 못미치는 것이다.

6월의 실업률은 고용증가에도 불구, 5월에 비해 0.2% 포인트 높아진 4.9%로 집계됐다. 시간제로 일하는 사람의 수가 580만 명으로 지난 5월에 비해 9.2%나 감소했고, 노동시장 참여율도 62.7%로 0.1%포인트 증가하는 등 더 나은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사람이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뉴욕타임스(NYT)는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는 고용증가 악화와 브렉시트를 우려해 가까운 시일내 기준금리 인상을 반대했으나 고용지표가 예상외 호조를 보임에 따라 금년 말에는 기준금리 인상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고 다이앤 스웡크 독립이코노미스트의 말을 인용, 보도했다.

특히 지난 3개월 간의 평균 고용증가가 14만7000명으로 실업률 유지에 필요한 7만5000~12만5000명을 크게 상회함에 따라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는 당분간 없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포인트72 자산관리사의 딘 마키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서비스부문의 고용증가가 25만6000명에 달한 것을 비롯, 거의 전 분야에서 고용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실업급여 신청 감소, 제조업과 서비스산업 지표 급상승, 소비자 지출 강세, 580만 개에 달하는 빈 일자리 등은 주목할만한 경제기표"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고용호조는 몇주 앞으로 다가온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의 대통령 후보 지명을 위한 전당대회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됐다. 캘리포니아대학(UCLA)의 린 배브렉 정치과학 교수는 "경제지표의 호조세가 이처럼 지속된다면 여당인 민주당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제조업 고용감소를 이유로 관세장벽과 이민자 추방 등을 주장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후보에 비해 최저임금 인상, 직업훈련 강화, 인프라 투자확대 등을 공약으로 내세운 힐러리 클린턴 후보가 유리한 국면을 맞을 것으로 NYT도 보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