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사정 마무리 후 개각할 듯... 미래·환경·농림장관 교체설

입력 2016-06-17 10: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정 → 친박 당대표 선출 → 개각 수순… 임기 말 국정 다잡기

박근혜 대통령이 대대적인 사정(査正)을 진행한 뒤 개각 수순을 밟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여당의 과반 의석이 무너지는 등 총선 이후 힘이 떨어진 국정 동력을 회복하기 위한 수순이라는 분석이다.

검찰과 경찰은 최근 대우조선과 롯데그룹 등 재계는 물론 국민의당 리베이트 의혹, 총선 낙선운동을 벌인 시민단체에 이르기까지 전 방위적으로 수사에 나섰다. 집권 4년 차에 이뤄진 것으로, 과거 정권에서도 임기 말이면 어김없이 사정태풍이 휘몰아쳤다.

새누리당 고위 관계자는 17일 “정권이 임기 말로 접어들면 통제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정부 등 각계에 긴장감을 심어주면서 레임덕 방지를 위해 사법기관을 활용하는 건 일반적이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사정 이후엔 인사를 통해 국정에 드라이브를 거는 수순으로 진행될 것”이라며 개각 가능성을 제기했다.

실제 청와대 안팎에선 청와대 참모진 개편에 이어 9월 정기국회에 앞선 ‘한여름 개각설’이 계속해서 흘러나오고 있다. 8월 새누리당이 전당대회를 통해 새 지도부를 꾸리면 정부의 인적쇄신을 통해 국정 현안을 힘 있게 추진할 것이란 관측이다. 새누리당 의석분포로 봤을 때 새 당대표는 친박계에서 나올 가능성이 크다.

한 친박계 중진 의원은 “박 대통령이 새 지도부를 통해 당 장악력을 유지하고, 당이 안정화에 접어들면 분위기 쇄신 차원에서라도 정부 개편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내다봤다.

주요 개각 대상으로는 ‘원년 멤버’인 윤성규 환경부 장관,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1순위로 꼽힌다. 또 롯데홈쇼핑 재승인 문제와 공무원 비위 등으로 감사를 받은 미래창조과학부 최양희 장관을 비롯해 성과가 저조한 부처 장관 등 중폭 이상 개각이 점쳐지는 상황이다.

반면 윤성규·이동필 장관과 같은 원년 멤버인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유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과 여야 원내지도부 회동 때 제기된 정무장관직 신설은, 최근 정무수석을 교체한 것으로 일단락됐다. 다만 청와대는 “개각과 관련해 확정된 사안은 아무것도 없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