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지배구조 라운드2 ①삼성그룹] 뜨거운 감자된 삼성SDS ‘물류’ 분할

입력 2016-06-13 11:02수정 2016-06-13 14: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자 또는 물산과 합병땐 이 부회장 지배력 강화…주주 반발 최소화 과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체제 개편의 핵심 계열사로 지목됐던 삼성SDS가 분할 검토 계획을 공식화하면서 향후 진행될 합병 등 삼성SDS의 행보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 부회장이 지난해 삼성물산 합병에 이어 올해 삼성SDS를 지렛대로 삼성전자에 대한 지배력을 키울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소액주주들이 적극 반대를 외치면서 삼성SDS를 둘러싼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SDS는 지난 7일 공시를 통해 “글로벌 물류 경쟁력 강화와 경영역량의 집중을 위해 물류사업의 분할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2일 삼성SDS의 물류 부문 분할과 삼성물산으로의 합병설이 나돌자 한국거래소의 조회공시 요구에 공식입장을 밝힌 것이다.

그동안 재계와 증권가에서는 삼성SDS의 오너 지분이 높은 만큼 이 부회장 체제로의 개편에서 삼성SDS가 중대한 역할을 할 것으로 관측돼 왔다. 특히 증권가에서는 △물류 업무처리 위탁사업부(BPO)만 분리해 삼성물산과 합병하는 방식 △IT사업부를 삼성전자에 매각해 현금을 마련하고서 삼성물산과 합병하는 방식 △물류사업을 모회사로, IT서비스 사업을 100% 자회사로 해 물적 분할을 하는 방식 등이 제시됐다.

이 부회장(9.2%)을 비롯해 오너 일가가 17%의 지분을 가진 삼성SDS가 물류 부문 분할과 삼성물산, 또는 삼성전자와의 합병 등을 거치면 ‘삼성물산→삼성전자’로 이어지는 지배구조에서 이 부회장의 지배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삼성SDS가 지배구조 강화에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는 인적분할을 할 것이란 관측도 나왔다. 인적분할은 삼성SDS를 IT서비스부문(존속회사)과 물류부문(신설회사)로 나눈 것으로 부문별 자산가치에 따라 분할비율이 결정되는 방식이다.

문제는 이러한 과정에서 불거질 합병비율 산정 논란이다. 삼성그룹은 지난해 옛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때에도 합병 비율 산정 과정에서 대주주 일가의 지배력 강화 의도가 있어 불합리하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이에 빗대 삼성SDS의 소액주주들은 물류부문 분할과 삼성물산과의 합병 반대를 목적으로 온라인 서명운동을 펼치며 대규모 집회는 물론 집단소송까지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를 의식한 듯 삼성 사장단은 지난 8일 삼성SDS 물류부문과 삼성물산 간의 합병설을 부인하는 등 소액주주의 반발 진화에 애쓰고 있다. 그럼에도 시장에서는 이 부회장 체제의 공고화를 위해 상당 시일이 걸리더라도 삼성그룹이 삼성SDS의 분할 및 합병을 택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